본 연구의 목적은 발명교사가 갖추어야할 역량을 고찰, 구안, 검증하고 발명교사 역량 모델을 개발하여 발명교사교육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진단하는 모델로써 적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사 역량을 내용 요소로 정리한 6편의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내용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발명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 요소를 추출하는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나타난 발명교사의 역량 범주화에서 많은 학자들이 공통으로 제시하였거나 발명교육에 필요한 역량을 추출하여 잠정적 모델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행동사건면접(Behavioral Event Interview)을 위해 사용할 설문 문항을 구안하여 설문지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설문지를 행동사건면접법에 의해 발명교육 현장전문가들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행동사건면접과 전문가들이 제시한 의견을 수렴하여 역량모델을 수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두 차례에 걸쳐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3개의 역량군, 10개의 역량 요소, 39개의 역량지표로 구성된 발명교사 역량 모델을 최종 확정하였다. 개발된 발명교사 역량 모델을 적용하여 발명교사가 적재적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후속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competency of invention teachers as a model for the education and diagnosis of invention teachers by examining, examining, verifying, and developing an invention teachers competency model.
A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to extract competency elements needed for invention teachers us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based on 6 research papers in which teachers’ competencies are arranged as content elemen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necessary competencies were extracted and a provisional model was developed. In order to do a delphi survey on the competence model composed through Behavioral Event Interview, the questions for the delphi survey were invention education experts to examine. As a result of the second delphi survey, developed invention teacher competency model is comprised of 3 competency clusters, 10 competency elements and 39 competency indicators. Also government institutions or local education offices can use me model to define the competencies necessary for invention teachers, and assign them to the right positions in the invention education centers, invention genius classes, invention club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