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온라인 과학 기사를 활용한 자유말하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태도에 어떤 변화와 반응을 보이는지 알아보는 목적이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제작한 과학향기에서 과학 기사를 선정하고 온라인 과학 기사를 활용한 자유말하기 활동을 경기도 소재 5학년 26명, 6학년 25명 학생을 대상으로 총 10차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온라인 과학 기사를 읽고 과학 기사와 관련된 내용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며 생각을 공유한다. 그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은 5, 6학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 항목에서는 과학적 설명형과 과학적 주장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자유말하기 활동이 자신의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기 때문에 과학적 설명형과 자신의 주장과 근거를 들며 토론에 참여함으로써 과학적 주장형이 향상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과학 태도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5, 6학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온라인 과학 기사가 여드름, 미세먼지 등 자신의 삶에 필요한 지식과 인공지능 등 흥미로운 주제를 담고 있었다는 점, 친구들과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한 점 등에서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따라서 온라인 과학 기사를 활용한 자유말하기 활동은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cience communication ability and science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free speech activity using online science articles and to investigate the responses. A science article was selected from the scent of science produced by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a total of 10 seminars were held for 26 students in Grade 5 and 25 students in Grade 6 in Gyeonggi Province using online science articles. Students read online science articles and freely talk about ideas related to science articles.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scientific communication in grades 5 and 6. In the sub item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ientific explanatory type and the scientific assertive type. This is because the free speech activity expresses the thoughts of the students in their own language, so it is helpful to participate in discussions with scientific explanations and their own arguments and arguments.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5th and 6th grades in the pre-post test on the attitude of science. An online science article would have had an impact on form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in that it contained interesting topics such as acne, fine dust, and knowledg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needed in my life, and that I freely shared opinions with my friends.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ree speech activity using online science articles positively change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and science at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