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3
18.97.14.83
close menu
Accredited
호텔 종업원의 심리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Hotel Employee’s Psychological Capital on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나성일 ( Luo Chengyi ) , 이인재 ( Lee Injae )
관광연구 vol. 33 iss. 8 293-315(23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18167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조직 내 사회적 자본을 매개변수로 하여 심리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즉, 심리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과정 중에 개인의 사회적 관계 즉 사회적 자본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중국에 있는 4성급 이상 호텔에서 근무하는 종업원을 모집단으로 하여, 중국에 신뢰도 있는 인터넷 설문회사(問卷星)에 위탁하여 2017년 8월 16일부터 8월 30일까지 15일 동안 설문지 429부를 배부하여, 304부의 유효설문지를 회수,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 자본은 사회적 자본을 통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자본과 이직의도간에 단순회귀분석결과 유의한 부(-)의 관계가 확인된 반면, 심리적 자원, 사회적 자본, 이직의도를 한 모형에서 분석한 결과 유의한 관계가 없어지고 사회적 관계를 통한 간접효과만이 유의한 결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자본을 완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의 하위차원의 경우 신뢰 및 네트워크가 유의한 직접적 부(-)의 효과를 가지는 반면 비전인지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심리적 자원, 사회적 자원, 그리고 이직의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의 심리적 변수의 자원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런 과정에서 사회적 자본 향상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호텔산업에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심리적 자원의 강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turnover inten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round 4 star hotels and 5 star hotels in Chin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MOS17.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single regression analysis model, psychological capital has an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However, when AMOS is used to analyze structural equations with social capital as a mediator, psychological capital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s is a new discovery in this paper. As a result, Social Capital is the perfect intermediary role for employees who work in hotels, Social Capital such as social relations is more important in hotels. Seco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turnover intentions shows that social capital affects the turnover intention (-). Third, psychological capital has an influence on social capital.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e possibility of the capitalization of psychological capital with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social capital in that.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empirical work,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