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3
18.97.14.83
close menu
Accredited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회복탄력성 그리고 직무성과의 구조모형검증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aekwondo Mast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silience and Job Performance
김동수 ( Kim Dong-su ) , 김상윤 ( Kim Sang-yun )
국기원 2018.12
UCI I410-ECN-0102-2019-600-001685111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회복탄력성 그리고 직무성과 간의 구조모형을 검증하고, 각 변인 간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태권도 사범 258명이었다. 자료는 변혁적 리더십, 회복탄력성, 직무성과 검사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인 변혁적 리더십과 회복탄력성 그리고 직무성과의 구조모형은 타당하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사범의 직무성과를 좋게 만들 수 있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은 사범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회복탄력성이 높으면 직무성과가 좋아진다. 다섯째, 회복탄력성은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다. 종합하면 태권도장 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성과와 그리고 회복탄력성은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성과와 영향관계를 맺는 구조적 관계를 가진다. 그리고 태권도장 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으면 사범의 직무성과가 좋아지고,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직무성과를 좋게 만든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