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감정적 부조화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역량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ompetence on the Job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ompetence
정무관 ( Mugoan Jeong )
UCI I410-ECN-0101-2019-000-001010470

본 연구는 감정노동의 결과인 감정적 부조화가 직무스트레스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직무스트레스를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종업원의 긍정심리역량이 두 변수간의 관계를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감정적 부조화는 직무스트레스의 4가지 요인 중 조직체계와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기존 연구들이 감정적 부조화는 어떤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즉, 감정적 부조화 또한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업에서 요구하는 감정표현이기에 직무요구와 같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으나, 이러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감정적 부조화가 조직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감정노동으로 인하여 발생한 감정적 부조화에 대한 조직차원에서의 대책이나 보상 등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긍정심리역량은 감정적 부조화가 조직풍토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완화시켜주는 기제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motional dissonance as a result of emotional labor affects job stress. In addition, we tried to confirm empirically whether positive psychological competence of employees can play a role in allev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dissonanc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organizational system among four factors of job stress. Positive psychological competence confirms that emotional dissonance mitigates the posi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climat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