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 이 연구는 비만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중재가 신체조성,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신체질량지수 25kg/m2 이상의 비만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비교집단과 플라이오메트릭 운동 집단으로 각각 10명씩 그룹화 하였다. 운동집단은 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고려하여 12주간의 운동 중재 기간 동안 주당 3회, 1일 45분의 프로그램을 탄력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12주간의 운동 중재 후 신체조성 변화에 대한 결과, 운동 집단의 체지방은 집단 내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감소된 반면 체중, BMI, 제지방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집단의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및 순발력은 사전 측정에 비하여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며 향상되었으며, 변화량에 대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 12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중재 후 골밀도에 대한 분석 결과, 운동집단은 사전에 비하여 우측 종골 골밀도의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 12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비만 남자 중학생의 신체조성 및 체력 향상에 일부 기여할 수 있고, 하지 골밀도의 개선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에 기반한 운동프로그램은 학교 현장에서 비만 학생들의 전반적인 건강 수준의 향상과 신체발달을 위한 적절한 운동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12-week plyometric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obese male adolescents. Method : Twenty adolescent boys who are obese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CON, n=10) or plyometic exercise group (EXE, n=10). The EXE group was performed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12 weeks interven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ⅰ) In EXE group, the fat ma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etween pre and post, whereas the difference of the body weight, BMI, and LBM were not significant. ⅱ) Among the physical fitness factors, grip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20m shuttle runnin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ut flexibil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ⅲ) The bone mineral dens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between pre and post in EXE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lyometric training for 12 weeks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obese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