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5
18.97.9.175
close menu
Accredited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사고 다발지점의 교통안전시설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raffic Safety Facilities of Traffic Accident Scene in the School Zone
이형복 ( Lee Hyung-bok )
DOI 10.24826/KSCS.7.4.15
UCI I410-ECN-0102-2019-300-001181033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어린이 보행안전을 위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안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를 사고지점에 따라 횡단보도, 교차로, 차도 및 보행로로 구분하여 3지점에 따른 교통안전시설의 비교를 통해 설치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사고 지점에 따른 교통안전시설인 차량감속유도시설, 보행자안전시설, 주·정차 금지시설의 설치 정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도로교통공단에서 제공하는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와 어린이보호구역 현황 및 도면을 자료를 활용하였다. 2012년~2014년 3년 동안 발생한 어린이 보호구역 내 어린이 교통사고 다발지역 사고사례 207건을 빈도분석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결론 : 첫째, 등교시간보다 교통안전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하교시간 이후에 대부분의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사고지점에 대해서는 차도 및 보행로에서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하였다. 둘째, 차량감속유도시설 중 교통사고 지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시설은 과속방지턱(가상과속방지턱), 교통안전표지, 교통노면표시, 유색 및 미끄럼방지포장이 있었으며, 4개시설 모두 횡단보도 및 교차로 보다는 차도 및 보행로의 설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보행자안전시설 중 교통사고 지점에 따라 차이를 보인 시설은 보행자용 방호울타리, 무단횡단 방지용펜스, 횡단보도, 횡단보도 신호기, 조명시설이 있었으며, 5개 시설 모두 횡단보도 및 교차로 보다는 차도 및 보행로의 설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보행자안전시설 중 주·정차금지시설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두 시설은 횡단보도 및 교차로보다 차도 및 보행로의 설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Pupose :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raffic safety facility installation according to 3 points by dividing the car accidents within school zone into crosswalk, crossroad, road and footpath along with the accident spot. Methods : The analysis used one-way ANOVA of 207 children car accident hazard cases between 2012 ~ 2014 utilizing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TAAS). Conclusion :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stallation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low accident facilities, pedestrian safety facilities, and parking prohibited facilities at many traffic accidents in school zone.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설계
Ⅳ. 연구결과 및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