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0
18.97.14.80
close menu
Accredited
中國當代藝術中圖式的作用机制硏究
史秀娜
동양예술 vol. 41 193-210(18pages)
UCI I410-ECN-0102-2019-600-001711005

스키마(schema)는 작품 뒤에 숨어 있는 정보 시스템으로, 예술가의 창작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맥락으로 거시적으로 예술 창작을 통제하는 관념의 측면에서, 예술가의 창작은 자신이 처한 문화에 있어서의 즉흥적인 투사, 그리고 예술 작품의 다의성과 이해의 복잡성은 스키마의 존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Xu Bing의 "문자", Cai Guoqiang의 "화약", Lu Shengzhong의 "전지"는 예술품의 운반체 형식으로 등장하는데, 이러한 동양문화 스키마는 유용과정에서 그 정보시스템이 동시에 작용하여 작품의 이해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예술가가 자신의 예술적 면모를 세우는 과정은 흔히 고유한 스키마 도식의 기초 위에 개인화된 새로운 스키마 시스템을 세우는 과정이다. 관람 과정에서 스키마는 보는 사람에 의해 식별과 해독이 되고, 이후의 풍부한 의미가 이해되거나 오독되어 예술가의 창작 목적이 체현되었다. 예술작품이 흔히 복잡성과 다의성을 갖춘 것은 작품도식, 형식언어, 표현 방식이 각각 다른 참관자의 해독 과정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스키마적 이해를 요구하는 창작자와 보는 사람이 비슷한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이는 예술품에 대한 이해과정도 그 은연중에 내포된 스키마 시스템에 대한 해독 과정이 되어 중국 현대미술에서의 스키마적 작용에 대한 연구를 도울 수 있다고 본다.

圖式是隱藏于作品之后的信息系統,在藝術家的創作過程中是看不見的脈絡,處于宏觀控制藝術創作的觀念層面,藝術家的創作是在自身所處文化的卽有圖式基礎上進行的投射,幷因自身的藝術訴求對原圖式進行挪用及重構,使圖式“陌生化”,呈現出不同的藝術形態。藝術作品的多義性和理解的復雜性與圖式的存在聯系密切。徐氷的“文字”、蔡國强的“火藥”、呂勝中的“剪紙”以藝術品的形式載體出現,而這些東方文化圖式在被挪用的過程中,其負載的信息系統同時發生了作用,成爲作品的理解背景之一。藝術家建立自己藝術面貌的過程,往往是在固有文化圖式的基礎上所進行的個人化的改變幷建立新的圖式系統的過程。在觀看過程中,圖式被觀者所辨認和解讀,其后的豊富意義被理解或誤讀,從而使藝術家的創作目的得以展現。 藝術作品往往具備復雜性和多義性,是因爲作品圖式、形式語言、表現方式在不同的觀者的解讀過程中産生了不同程度的作用。對于圖式的理解要求創作者與觀看者具備相似的文化背景,對于藝術品的理解過程因此也成爲對于其暗含的圖式系統的解碼過程,因此,對于中國當代藝術中的圖式的作用机制的硏究能勾幇助觀看者眞正理解藝術家的創作意圖和藝術品的价値所在。

Ⅰ. 序論
Ⅱ. 圖式理論溯源
Ⅲ. 圖式的作用机制
Ⅳ. 中國當代藝術的圖式作用机制
Ⅴ. 結論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