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1
18.97.14.81
close menu
Accredited
방법론적 맹신에 대한 도전 -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의 규격성에 대한 현상학적 비판 -
A Critical Examination on Methodological Blind Faith - A Phenomenological Criticism on Standardization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
김희원 ( Kim Huiwon )
인문과학 vol. 71 337-369(33pages)
DOI 10.31310/HUM.071.11
UCI I410-ECN-0101-2019-000-001000169

본 논문은 점차 규격화 되어가는 사회과학연구방법론을 현상학의 입장에서 비판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양적 연구 방법론에서의 기초 방법론인 요인 분석을 비판한다. 또한 양적방법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서의 질적 연구 방법론도 방법론적 틀에 대한 맹신으로 인해 결국 규격화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본 논문은 현대의 사회과학 연구 방법론이 가지고 있는 방법론적 맹신이후설과 파이어아벤트가 지적했던 학문의 위기와 맞닿아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현상학이 갖는 학문이론적 특성이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 된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이를 통해 세계 형성자로서의 연구자들이 적극적으로 방법론에 도전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ize social research methodologies with regard to its standard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To achieve this, the paper analyzes and criticizes factor analysis on which quantitative research is made. Besides,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which researchers try to overcome the limit of quantitative research is proven to have its limitation of being standardized, which results from its blind acceptance of methodology. This paper suggests that blind adoption of methodology is related to the crisis of science and that the character of phenomenology as die Wissenschaftslehre (the Science of Knowledge) can serve as a way to cope with the academic crisis. Therefore, the paper concludes that researchers as the world-builders must challenge against the methodology.

Ⅰ. 문제의 제기
Ⅱ. 양적 연구 방법론이 갖는 근본 문제
Ⅲ. 질적 연구 방법의 이념 그리고 현상학
Ⅳ. 현상학의 학문이론적 특성
Ⅴ. 결론: 세계형성자로서의 연구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