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정치가』는 치자(politikos) 내지 치술(politike)의 정의만이 아니라 그것의 정의를 위한 변증술의 수행, 특히 변증술의 한 절차인 나눔(diairesis)의 수행을 훌륭하게 보여 준다. 그래서 플라톤도 이 대화편의 목적이 ‘한층 더 변증술에 능해지기 위한 것’(dialektikoteros, 285d6)이라고 언급한다. 그러나 이 대화편을 읽을 때 유의해야 할 점은 방법과 내용 어느 한 쪽에만 치우쳐서 읽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이 논문은 『정치가』를 분석해서, 이 대화편의 구조 및 내용을 분명히 밝힘과 동시에 거기서 수행된 나눔의 특이성을 보여줄 목적을 갖고 있다. 『정치가』의 분석으로부터 발견된 나눔의 특이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화(mythos) 이전의 나눔은 철저한 이분법적인 나눔이지만, 주관적인 식별 절차에 의존함으로써 그릇된 나눔을 만들어 냈을 뿐 아니라, 치자 내지 치술을 정의함에 있어서도 실패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그 나눔은 치술이 인간에 관여하는 방식(tropos)을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둘째, 신화 이후의 나눔은 이분법에만 제한되지 않고 ‘형상(종)에 따른’(kat’ eide) 나눔을 수행함으로써 치술이 인간에 관여하는 방식을 밝힌다. 특히 이분법에만 제한되지 않는 이 나눔은 제거되어야 할 나눔의 다른 부분도 철저히 형상(종)으로서 한정해서 고려한 다음 제거한다는 특이성을 갖고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이 나눔은 치자 내지는 치술에 대한 더 풍부한 정의를 가져다줄 뿐만 아니라 변증술에도 한층 더 능하게 해준다.
Plato’s Statesman shows not only the definition of statesman(politikos) or politics(politike) but also the performance of the dialectic for its definition, especially the practice of division(diairesis) which is a procedure of dialectic. Plato also notes that the purpose of this dialogue is “to be more skillful in dialectic(dialectikoteros, 284d6)”. However, when reading this dialogue, we should keep in mind that we should not read it only in one way or the other.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zes the Plato’s Statesman and aims to clarify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dialogue as well as showing the specificity of division performed there. Thus, the specificity of division found from the analysis of Statesman is as follows.
First, division before the myth (mythos) is thoroughly dichotomous, but by relying on the process of subjective dianoetic procedure, not only has it created wrong division, but it has also led to failed definition. Because this division does not reveal the way(tropos) in which politics is involved in man.
Second, division after the myth is not limited to the dichotomy, but it reveals the way in which politics is involved in the human being by carrying out ‘division according to the form(kat’eide)”. Particularly, this division, which is not limited only to the dichotomy, has the specificity that only the other part of the division to be eliminated is strictly considered as a form and then removed.
Through this procedure, this division not only provides a richer definition of statesman or politics, but also enables us to be more skillful in dialec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