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23
216.73.216.123
close menu
자연계열 모집단위의 전형유형별 학교생활 적응 현황 분석
A Study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by Admission Types in Departments of Science and Engineering
김경수 ( Kim Kyungsoo ) , 박소연 ( Park So-yeon ) , 정다운 ( Jung Da-woon ) , 최혜림 ( Choi Hye-rim )
입학전형연구 7권 85-119(35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68556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전형을 통하여 학생을 선발하고 있는 자연계열 입학생의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자연계열 학생들의 수월한 학교생활 적응과 향후 대입전형 설계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11개 종합 대학과 2개 이공계 특성화 대학의 자연계열 대입전형 운영현황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여러 대학에서 공통적으로 운영하는 학생부, 논술, 수능 전형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적응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전형유형별 자연계열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도를 바탕으로 정리한 학생부전형, 논술전형, 수능전형 학생들의 현황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학생부전형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교생활 적응도가 높았다. 대부분의 요인에서 다른 두 전형 학생들보다 평균이 높았으며, 이는 학생부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에 익숙하며, 다양한 대상에 대한 적극적이면서 열린 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논술전형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교생활 적응도가 수능전형 학생들보다 높았으며, 자연계열 임에도 읽기 또는 쓰기와 관련된 활동에서 다른 두 전형 학생들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이는 논술전형 학생들의 논술 수준이 다른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를 설명하는 결과라고 하겠다. 수능전형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교생활 적응도는 낮게 나타났으나, 전공에 대한 교수·학습만족도는 타 전형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진학을 위해 다양한 영역의 활동 보다는 ‘학업’을 위주로 고교생활을 하였을 수능 전형 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수능전형 학생들이 전공 외의 다양한 분야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student’s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ccording to the various admission types for department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nd provide helpful information for easy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future design direction of admission system. We surveyed and analyzed current admission systems for departments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 11 universities and 2 science and engineering specialized universities. We analyzed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ccording to grade, essay, and scholastic ability test (SAT) types, which are common in various universities. We could summary the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or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 The grade-type students were highly adaptable to university life. Most factors showed higher averages than those of the essay-type and SAT-type students. This result could be observed because the grade-typ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majors, were familiar with self-directed learning, and had an active and open attitude toward various subjects. The essay-type students generally showed higher adaptation level than the SAT-type students. In addition, they scored higher averages in factors related to reading and writing than the grade-type and SAT-type students. This result could explain why the essay writing ability of essay-type students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other students. The SAT-type students showed relatively lower adaptation level, but had higher satisfaction in factors for teaching and learning about their majors than the grade-type and essay-type students. This resul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T-type students who focused on ‘academics’ rather than various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Programs for the SAT-type students to participate in might be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ir adaptation level.

Ⅰ. 서론
Ⅱ. 주요대학 자연계열 전형유형 분석
Ⅲ. 전형유형별 학교생활 적응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