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새로운 방법론을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소 신고리 5, 6호기 건설에 대한 한국인의 여론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방법은 한국 19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을 추출한 후, 먼저 신고리 5, 6호기 건설 재개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물었다. 이들을 찬성자와 반대자 두개의 그룹으로 다시 나누어 전자에게는 원자력발전에 대한 단점을, 후자에게는 원자력발전에 대한 장점을 정보로 제공하여 반론을 시킨 후 의견을 재차 묻고, 이때 의견이 변화한 양상과 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반론에 직면해 초기의견을 바꾼 응답자는 29.3%로 나타났고, 이 때 의견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초기의견’, ‘원자력과 정치에 대한 관심’, ‘원자력발전과 정치에 대한 정보인지’, ‘정치성향’, ‘학력’으로 나타났다.
신고리 5, 6호기 건설에 대한 한국인의 여론은 응답자의 초기의견이 찬성이고, 정치와 원자력 발전에 대한 관심과 정보인지가 낮을수록 의견의 확신도는 취약한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민주국가의 공정한 여론 형성을 위해서는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고 토론을 시켜 관심을 고조시킨 후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새로운 여론조사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conducted an experimental survey on Shingori 5th and 6th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by using a dynamic method that makes it possible to exchange political opinions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public opinion and gain exact results. The survey conducted the following steps: First, 1,000 interviewees over the age of 19 are asked if they are in favor of or against resuming Shingori 5th and 6th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They were divided into groups of a supporter and an opponent, then information about the disadvantage and advantage of Nuclear Power are provided to the supporter and opponent, respectively. After reading the counter-argument, they are asked their opinions agai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much anticipation as to how their first opinions, their interest in politics and nuclear power, their information perception of nuclear power are influenced when confronted with a counter-argument.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ed that 29.3% of the interviewees have changed their first opinion which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their first opinion, information perception, a frequency of mentioning nuclear power and politics, an inclination of politics, and education level. The interviewees who agreed with nuclear power and had lower information perception and interest tend to change their opinion more easily.
The result suggests that building people's interest by providing information and making them to debate is significant in a formation of desirable public opinion in a democ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