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SCOPUS
자소엽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와 성분분석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 and Its Fraction and Their Component Analyses
정효진 ( Hyo Jin Jeong ) , 현송화 ( Song Hua Xuan ) , 송바름 ( Ba Reum Song ) , 이상래 ( Sang Lae Lee ) , 이윤주 ( Yun Ju Lee ) , 박수남 ( Soo Nam Park )
공업화학 vol. 29 iss. 6 716-725(10pages)
UCI I410-ECN-0102-2019-500-001463670

본 연구에서는 자소엽의 5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제조하여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성분 분석을 진행하였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S. aureus 및 P. aeruginosa에 대해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값은 모두 78 μg/mL로 나타나 항균 활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FSC50)과 Fe3+-EDTA/H2O2계에서의 활성산소 소거 활성(OSC50) 측정 결과 50% 에탄올 추출물 보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각각 25.90, 1.40 μg/mL로 나타났다. HaCaT 세포에서 세포 내 ROS 억제 효능은 최고 농도인 32 μg/mL에서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각각 PC군 대비 28.6, 40.7%의 감소율을 보였고 UVB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2.0-16.0 μg/mL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자소엽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이용한 성분 분석 결과 rosmarinic acid, luteolin, apigenin, caffeic acid 및 ethyl caffeate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자소엽 추출물 및 분획이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짐을 보여주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천연 소재로써 화장품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were investigated with 50% ethanol 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also the components were analyze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for both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were 78 μg/mL, indicating high antimicrobial effect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SC50) and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OSC50) in Fe3+-EDTA/H2O2 system value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were 25.90 μg/mL and 1.40 μg/mL, respectively. After the cell damage induced by 400 mJ/㎠ UVB irradiation,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P. frutescens var. acuta showed the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ranging from 2.0 to 16.0 μg/mL. The intracellular ROS inhibitory activity in HaCaT cells decreased to 28.6% and 40.7% for the 50% 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fraction, respectively at the concentration of 32 μg/mL. Components of rosmarinic acid, luteolin, apigenin, caffeic acid and ethyl caffeate were identified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 and fraction of P. frutescens var. acuta may be applied to the field of cosmetics as a natural material that protects the skin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by having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