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탈(脫)매체 환경과 현대도자의 잡종성(Hybridity)
Hybridity in the Contemporary Ceramic Practice in the Era of Post-medium Condition
문유진 ( Yujin Moon )
도예연구 27권 53-81(29pages)
UCI I410-ECN-0102-2019-600-001679202

본 연구는 문화적 생산으로서 동시대 예술 활동을 ‘잡종성(hybridity)’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도자 매체에 대한 관념과 인식의 변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동시대 도자 예술이 그려내는 잡종의 풍경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인지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아방가르드의 반동과 전복, 포스트모던적 반복과 참조의 시대를 거쳐 융합과 통섭의 정신이 사 회의 모든 영역을 휩쓸고 있는 현재의 시대 상황을 논한다. 그와 같은 상황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문화 의 잡종화(hybridization)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20세기 후반 포스트모더니즘의 토양 속에서 전개된 잡종 적 예술의 징후들을 포착한 문화이론과 예술 비평들을 소개한다. 다음으로는, 기술 발전과 혁신이 거듭 됨에 따라 전통적 매체 관념이 무효화되고 뒤섞여 새로운 매체 관념이 생성되는 동시대 예술의 탈(脫)매체 (post-medium)적 조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예술 형식의 범주와 위계질서에 따르는 열등한 정체성과 물질에 기반한 매체특정성(medium-specificity)에 한정되지 않는, 넓은 의미의 예술 형식으로서 도자의 동시대적 맥락을 이해하고자 했다. 더불어, 도자를 매체 혹은 탈매체로 활용하는 예술 활동 들과 그들이 사용하는 잡종적 언어들을 고찰한다. 특히, 동시대 예술의 주요 관심사로 자리 잡은 주변, 이주와 같은 키워드로 표상되는 문화정체성의 주제 내에서 잡종화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예술 활동의 잡종적 수사 자체보다는 그것을 발생시킨 맥락을 이해하는 것에 보다 무게를 두었다. 본 연구는 문화이론, 매체비평, 사회생물학 분야의 대표적인 선행 연구들이 정립해 놓은 탁월한 개념 과 태도에 크게 기대고 있다. 그리하여 과정이자 환경으로서, 궁극적으로 생산과 사용 측면에서 모두 다양 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예술적 장치로서, 융합의 방법론이자 철학인 통섭으로서의 도자 매체의 가능성을 조심스레 질문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hybridity' that has come to the fore as a keyword in the contemporary art practices when considered as cultural productions. Then, it discusses how the contemporary artistic practices of ceramics conjure up the landscape of hybrids by reviewing different ideas of the medium of ceramics and the aspect of changes through time in understanding of this ideas. Primarily, I present the state of the period that came out of the era of the avant-garde marked by resistance and subversion, then the era of post-modernism characterized by repetition and reference to the past and finally to arrive at the current circumstance in which the spirit of fusion and consilience is sweeping over all areas of the society. Based on the perception of such situation, I will take a detailed look at the process of hybridization of culture, and then introduce the culture theories and art criticisms that capture the symptoms of hybrid art that sprang up from the spoil of the post-modernism in the late 20th century. Subsequently, I will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s behind the post-medium condition in contemporary art discourses which explains how advancing technology and continual innovation resulted in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a medium to be nullified and blended for the new concept of a medium to be created. Through this, I attempt to understand the contemporaneous context of ceramics as an art form in a broader sense where it is not limited by the medium-specificity that is based on the inferior identity and the material that follows formalistic categories of art hierarchy. Furthermore, artistic practices in which the ceramics is treated as a medium or as a post-medium and the hybrid vocabulary they employ are to be analyzed. More specifically, I will review the meaning of hybridity within the scope of cultural identities that is marked by the keywords that have become the main interests of the contemporary art such as marginality and migration. By doing this, I intend to give more weight to the context that gave rise to the conditions that influenced the artistic practices rather than the rhetorics of hybridity. As a conclusion, I want to point out that this research takes from the accomplished concepts and approaches of the culture theory, media criticism, and sociobiology. Therefore with a caution, I attempt to pose my ques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ceramics as an artistic device that serves as a process and a condition at the same time, which may increase diversity in the aspects of both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ceramics as a medium of consilience ― a methodology and philosophy of convergence.

Ⅰ. 머리말
Ⅱ. 잡종성의 시대
Ⅲ. 탈매체 예술과 현대도자
Ⅳ.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