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신설된 「통합사회」교과서에서 나타난 여러 지리 개념의 정의와 활용상의 문제점을 탐색하고 그 대안을 모색한 것이다. 분석 자료는 5종의 「통합사회」교과서로서 2018학년도부터 학교 현장에 보급된 것이다. 분석 결과, 기후와 날씨, 영역과 영토 개념 간 혼동을 비롯하여 지리 관련 내용에서 개념 정의의 오류 및 미흡, 개념의 혼용 및 오남용 문제를 다수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교과서마다 공간적 관점에 대하여 서로 달리 정의되는 문제점과 지역, 공간, 장소 등 지리의 주요 개념이 오남용되는 문제점이 두드러졌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공간적 관점에 대한 타당한 정의를 위한 논의의 장이 마련되고, 여러 지리 개념을 보다 정밀하게 정의하여 그것을 일관되고 엄격하게, 그리고 맥락에 부합하도록 활용하려는 지리 교육 공동체의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아울러 교육과정이나 지리 교사 현장 연수 등에서도 지리 개념의 오남용 문제를 다룰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problems of conceptual error or inadequacy and abuse or misuse of geographical concepts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s, and try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The sample editions of the 5 texts were used for investigating because these properly showed latest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geographical concepts. Geography domain of the texts have many problems on geographical concepts, for example a conceptual errors or inadequacy and abuse or misuse of concepts. In particular, the authors of texts hold a different view of what is the definition of spatial perspectives. The fundamental geographical concepts, i.e. region, space, place, and so on, were overused or misused. Therefore geographical researchers need to discuss these problems, and the geography community must strictly apply these concepts to the contexts of explain and statement. These problems have to be dealt with by geography teacher training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