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30
216.73.216.130
close menu
인류세(Anthropocene) 속 이방인의 시선 : 김득련(金得鍊)과 버튼 홈즈(Burton Holmes)의 여행기에 나타난 개발된 자연에 대한 묘사를 중심으로
A Stranger’s Gaze in the Anthropocene : Contrasting Attitudes toward Built Environments in Travelogues
부찬용 ( Bu Chan-yong )
연민학회 2017.08
연민학지 28권 411-446(36pages)
UCI I410-ECN-0102-2019-800-001774146

2000년대 초부터 생태비평가들은 부정적으로만 다루어져 왔던 도시 생태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사악한 개발과 정의로운 자연의 보존이라는 이분법 너머의 생태 인식을 읽어내려는 시도를 해왔다. 특히 비교문학자 캐런 똔버(Karen Thornber)는 파괴적인 서양 문화의 대립항으로 아시아 문학을 다루어 온 기존의 생태 비평 틀을 반박했다. 이러한 비평은 현대문학을 위주로 전개되어 왔지만, 조선 말기의 여행기 역시 전신주와 공장 그리고 철도 등의 개발된 자연에 대한 서술이 주를 이룬다는 점에서 복잡한 생태인식을 읽어낼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춘파(春坡) 김득련(金得鍊)의 사행시집인 『환구음초(環璆吟艸)』와 미국인 여행자였던 엘리아스 버튼 홈즈(Elias Burton Holmes)의 여행기 『Seoul: the Capital of Korea』에 나타난 생태인식을 비교 분석해볼 것이다. 세계정세에 대한 언급이 두드러지는 두 작품은 각각 사대주의와 미국식 오리엔탈리즘(American orientalism)의 담론 속에서 분석되어 왔지만, 이들의 생태인식에는 그러한 틀로 설명될 수 없는 부분이 존재한다. 가령 김득련의 경우, 국가의 자주성 강조가 개발된 자연에 대한 감상과 맞물려 빈번하게 등장한다. 한편 홈즈의 글에서는 미국 주도의 개발에 대한 예찬과 신비로운 동양의 때 묻지 않은 자연에 대한 상상 그 어느 한쪽에도 온전히 속하지 않는 제 3의 풍경에 대한 서술이 등장한다. 개발된 자연에 대한 이들의 묘사는 똔버가 제안한 모호한 생태인식(Ecoambiguity)에 대한 이론과 연결되면서도 나아가 이를 보충할 수 있는 지점을 가지고 있다.

Since the early 2000s, the question of ambiguous attitudes toward manmade environmental change has been widely debated in the field of comparative literature. Scholars such as Karen Thornber coined the terms 'ecoambiguity’ to better trace such attitudes found in modern East Asian literature and of ecosystems in large cities. The aforementioned approa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ing travelogues related to Korea during the late Choson period which have been interpreted through the lens of flunkeyism or Orientalism. Yet travelogues such as Kim Tung-nyon(金得鍊)’s Comments on Traveling Around the World (Hwan'guumch'o, 環璆吟艸) and Elias Burton Holmes’ Seoul: the Capital of Korea show an intriguing understanding of anthropogenic activities that partially overlap with Thor. nber’s theory. The former frequently combines the description on built environment with his emphasis on national autonomy while involving classical East Asian rhetoric originally related with intact nature. Although Holmes’ imagination of an intact and ecofriendly Asia do appear in his writing, there is another ideal landscape that does not fully fall into the category of either admiring Western technology or dreaming ecologically intact Asia.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awareness in the literature and film of so-called ‘strangers’ in the West and Asia at the start of the 20th century dismantles the conventional dichotomy of an avaricious West and eco-friendly Asia in the late Choson period. Therefore, tracing the link between these two works has the potential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current ecocriticism and travelogues written in early 20th century.

1. Introduction
2. Kim Tung-nyon‘s 環璆吟艸
3. Burton Holmes’ Travelogues
4. Conclusion
Works Ci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