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今字는 동일 어휘에 대한 서로 다른 문자 형식의 일종으로 今字로 古字를 풀이하는 방식에서 비롯되었다. 언어가 문자로 기록된 이후 어휘와 문자가 끊임없이 변화 발전하는 단계에서 古今字는 漢字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그리고 通假字와 異體字는 이러한 古今字와 연계되면서 또 때로는 독립적으로 자형의 派生에서 각자의 역할을 담당했다. 經典의 정확한 字義 파악을 위해서 등장한 古今字는 자형의 派生을 통해 한자의 表意 기능을 더욱 강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古今字는 通假字와 異體字 등의 언어적 개념과 일정 부분 교차되므로 각자의 개별적인 기능을 이해하고 구분하는 것은 자형 파생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古今字와 通假字 그리고 異體字는 각자의 독립적인 언어의 특징을 가지고 漢字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 가운데 특히 古今字는 漢字 자형의 파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ademic value of Gujinzi, Tongjiazi and Yitizi in Chinese linguistics. Gujinzi is a kind of different character format for the same vocabulary according to the timing of use. This concept of Gujinzi emerged early in the process of Han dynasty researchers interpreting ancient characters as those used at that time. Gujinzi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stage of continuous vocabulary formation and continuous change of characters since the language was written. And Tongjiazi and Yitizi are associated with Gujinzi. Sometimes, however, they played their role independently in the process of changing and developing the Chinese character. As a result, Gujinzi, which appear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haracters, directly affected the deriv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se Gujinzi have some intersections or similar parts with the linguistic concepts of Tongjiazi and Yitizi.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each individual function and clearly distinguish i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 derivation. In conclusion, Gujinzi, Tongjiazi and Yitizi each have independent linguistic features. At the same time, there are parts that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