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그래픽 디자인 씽킹으로서의 맵핑 방법론 - 2000년대 인쇄 매체 디자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f a mapping methodology as a graphic design thinking - Based on the Design of Printing Media in 2000 -
이수진 ( Lee Su Jin )
UCI I410-ECN-0102-2019-600-00169261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맵핑 방법론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통해 통합적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맵핑의 시각 표현적 특징 및 효과를 통해 그래픽 디자인 씽킹의 한 방법으로서 맵핑 방법론이 지니는 가치를 논의하고자 한다. 2000년대 이후 나타난 맵핑 방법론의 문헌조사를 통해 통합적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심층적 시각 사례분석을 통한 특징 및 이점을 바탕으로 그래픽 디자인 씽킹으로서 맵핑 방법론의 가치를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었다. 첫 번째, 맵핑 방법론은 과정상 수행해야 할 각 단계들의 목표와 결과들을 분명하게 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디자이너가 프로젝트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 맵핑 프로세스는 다양한 시각어휘 개발을 위한 디자이너의 창작성을 고무시킬 수 있다. 정보 및 컨텐츠 전달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그래픽 기호와 타이포그래피를 바탕으로 한 시각 어휘 개발을 고무시킬 수 있으며, 의미 전달을 위한 추상적, 실험적 시각 형태 개발을 고무시킬 수 있다. 세 번째, 관계성의 새로운 의미 부여를 위한 정보간의 다양한 연계를 시도함으로서 디자이너의 사고전환을 유도할 수 있다. 네 번째, 수용자의 해석 방향에 따라 디자이너는 시각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단일한 의미 해석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구상적·객관적 시각화를, 열린 구조를 통한 해석의 다양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추상적·주관적 시각화를, 새로운 의미 발견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확장적 시각화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맵핑은 프로세스 중심, 표현의 다양화를 통한 디자이너의 창작성 고취, 사고의 전환, 수용자 해석 방향에 따른 시각 결과물 선택이라는 특징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맵핑의 이러한 특징은 정보 및 아이디어를 시각화 하는데 있어서 그래픽 디자인 씽킹의 한 방법으로 사용가능한 충분조건이 충족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rive the common process used in mapping methodologies and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mapping methodologies as graphic design thinking through visualization, benefits, and effects of mapping. The common process was deriv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of mapping methodologies from the 2000s and suggested the value of mapping methodology as a graphic design thinking based on characteristics and benefits through in-depth analysis of visualization. First, mapping methodologies enable the designer to focus on projects through a process that makes the objectives and results of each step clear. Second, the mapping process can inspire the designer's creativity for developing a variety of visual languages. The designer can develop graphical sings and typography as the functionality to deliver information and content, or make abstract and experimental visual forms to convey meaning. Third, the attempt to connect between information to reveal the hidden aspects of relationships induces a change of mind. Fourth, designers may choose visualiz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interpretation. The objective visualization can derive a single interpretation in meanings, and the subjective visualization can draw a various interpretation in meanings through an open structure, and expanded visualization can induce discovery of a new meaning between information. Therefore, the mapping can be characterized as process-centered methodology, development of the designer's creativity through the diversity of expressions, change of thought, and selection of visual output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interpretation in meanings. These features of mapping have sufficient availability as a method of graphic design thinking to visualize information and ideas.

1. 서론
2. 그래픽 디자인 씽킹과 맵핑
3. 맵핑의 시각화 표현 방법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