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오인환의 ‘나의 아름다운 빨래방 사루비아’ 작품에 나타난 관객참여와 정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dience Participation and Identity in Oh In-Hwan's “My Beautiful Laundrette, Sarubia”
박영택 ( Youngtaik Park )
UCI I410-ECN-0102-2019-600-00169154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오인환의 2002년도 설치작업 ‘나의 아름다운 빨래방’ 은 영국의 스티븐 프리어스 감독의 ‘나의 아름다운 세탁소’에서 따온 제목이다. 전시장 안에는 판자로 지은 빨래방이 설치되었고 이곳에서 작가는 사전에 빨래를 예약 신청한 남자 관객의 옷을 빨래하고 다림질 하면서 일정한 시간 동안 대화를 나눈다. 빨래를 의뢰한 남자들의 흔적은 빨래방 바깥 벽면에 붙여놓은 사진으로 대체된다. 이 작업은 서로 다른 사람들이 제한된 공간 속에서 소통하는 순간을 형상화했다. 작가와 관람객은 세탁이 진행되는 동안 한국에서 남성으로 산다는 것에 대해, 동성애와 이성애간의 삶에 대해, 일반인과 예술가의 생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다양한 종류의 세탁물은 사람들 간의 다름을 보여주는 동시에 소통을 위한 매개체로 기능한다. 오인환의 설치미술 작업에서는 미술관 방문객의 빨래를 해 주는 ‘과정’ 자체가 예술작품이 된다. 오인환은 미술과 공연예술 사이의 인터아트를 통해 사전에 계획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관객과의 소통 그 자체를 예술작품으로 승화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오인환의 작업이 1970년대 한국 실험미술에서 행해진 해프닝과 이후 여러 관객참여형 작업들과 연관되어 있는 동시에 앞선 작업들과는 달리 참여자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부여하고 있으며 그로인해 작품을 궁극적으로 완성해내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작업을 통해 불특정한 관객과의 소통을 적극 추구하고 아울러 성정체성, 타자, 수행성 등 동시대의 여러 중요한 이슈를 적극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동시대 한국현대미술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관객참여형 작업들에 주는 시사점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

“My Beautiful Laundrette,” an installation art produced by Oh In-Hwan in 2002, is a title borrowed from “My Beautiful Laundrette” by an American film director Stephen Frears. In the exhibition, a laundrette made out of panels is installed and the artist washes, irons the clothes of male audience who made a reservation, and talks with them for certain amount of time. Later, the traces of these men are replaced by photos attached on the exterior wall. This artwork embodies the moment of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in a limited space. During the laundry, the artist and the viewers share talks about living as men in Korea. The conversations include talks about the lives of homosexuals and heterosexuals, and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and artists. Various types of clothes serve as a medium for showing the difference among people and communication. In Oh In- Hwan's installation artwork, 'the process' of laundry for gallery visitors becomes an artwork. Thus, it is an installation art, yet it can also be a theatrical installation art approaching theater or performing art. Oh In-Hwan developed th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s an artwork, not deliver the planned message through interart between art and performing art. This is connected with happening many audience-participating artworks conducted in the Korean experimental arts in the 1970s, and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it actively reflects several important issues such as more active role than other participants, communication, sexual identity, others, and performativity contrary to earlier artworks at the same time.

1. 서론
2. 관객참여적 작업
3. 오인환의 빨래방 작업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