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들의 보안정책 위반의도를 설명하기 위해 사람-환경 적합 모델(P-E Fit Model: Person- Environment Fit Model)을 기반으로 연구하였다. 보안정책 위반의도에 있어서 조직이 제공하는 보안 환경과 보안에 대한 개인의 가치 간 관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조직 구성원이 관찰할 수 있는 보안 환경을 조직의 정보보안 문화와 동료의 보안 준수 행동으로 설정하였고 보안에 대한 개인적 가치는 도덕 이탈 이론에서 제시하는 행동의 재구성, 결과의 왜곡, 조직의 가치감소로 설정하였다. 도덕 이탈 이론의 구성 개념을 바탕으로 조직원의 보안 위반에 대한 인식을 2차 요인(Second Order)으로 측정하였다. 인식의 측정은 조직 내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패스워드 공유 상황을 시나리오로 제시하여 설문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보안 문화가 조직의 가치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행동의 재구성과 결과의 왜곡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동료의 보안 행동은 보안 위반 행동에 대한 재구성, 결과의 왜곡, 조직의 가치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행동의 재구성, 결과의 왜곡, 조직의 가치감소는 조직원의 보안정책 위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실제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적용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기여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organization members’ intention to violate security policies based on the Person-Environment Fit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ecurity environment and the individual security value on the intention of organizational security policy violation. The security environments are classified into the organizational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and peers’ behavior of security compliance, while the personal values are classified into reconstructing the conduct, distorting the consequence, and devaluing the organization as presented in the moral disengagement theory. Based on the concept of the moral disengagement theory, we measured the individual security values as a second order factor. This study found that the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devaluing the organization, but did not have as much impact on reconstructing the conduct and distorting the consequence. Peers’ behavior of security complia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constructing the conduct, distorting the consequence and devaluing the organization, all of which also had relevant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members’ intention of security policy violation.This study measured a persons’ perception on security policy breach by presenting scenarios of password sharing that is common in many organiz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practical contributions, as it deals with challenges that many organizations are actually faced w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