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학습자 중심의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 사례와 교육적 의미 탐색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Cases of Learner-Centered Physical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Their Educational Meaning
정현철 ( Jeong Hyun Chul )
교육연구논총 39권 3호 115-136(22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4050419

이 연구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의 사례와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 체육 교과 수행평가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체육교과 선택형 수행평가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교사 3인과 교사 3인이 추천한 각 학교 학생 1명씩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선택형 수행평가의 자료들과 관찰일지, 심층 면담, 집단 면담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는 영역별 수업 단원에 맞춰 교사의 설명과 시범 뒤 학생 스스로 평가 내용과 방법을 선택하여 기준안을 마련하게 된다. 학생은 교사에게 평가 기준안에 대한 설명과 시범을 보인 뒤 교사의 개입과 타협을 통해 최종 수행평가 기준안이 마련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피드백과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진다.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의 교육적 의미로는 첫째, 학생 스스로 평가 기준안을 작성하며 교사와 신의(信義)를 바탕으로 한 개입과 타협을 통해 평가에 이르기까지 개별성이 존중받는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학생은 수행평가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자율성을 가지게 되었고, 선택형 수행평가를 진행하면서 평가 기준에 대한 성취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해 책임감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이 반영된 선택형 수행평가는 과정 중심 평가로 수업의 과정과 결과가 일치되는 균형 잡힌 평가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cases and their meanings with respect to PE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in which learners become the center,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meanings,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PE performance assessment. I, the researcher, selected three teachers and three students recommended as participants by the three teachers, respectively, and collected and analyzed performance assessment materials, observation logs, and data from depth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For the PE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students chose the assessment contents and methods, and established standards after teachers' explanations and demonstrations according to each chapter. Students provide explanations and gave demonstrations concerning the assessment standards to teachers, and the final standards were established through teachers' intervention and compromise. Based on this, various feedbacks was provides and process focused assessment was undertaken. The educational meanings of PE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were as follows: First, assessment appreciating individuality is undertaken following intervention and compromise based on teachers' sincerity while students establish their own assessment standards. Second, students can acquire autonomy during the process of freely selecting and practic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y also develop sense of responsibility to satisfy the accomplishment goals of assessment standards while they undertake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Third,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that reflects learn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ws the possibility of being a balanced method of assessment, in which the process and the results are agreed as process-focused assessment.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Ⅱ. 연구 방법
Ⅳ. 체육 선택형 수행평가의 교육적 의미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