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공과 나의 현전(現前) __『중론』과 『보살지』 「진실의품」의 공성 이해를 중심으로__
Emptiness and My Present Existen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mptiness of Madhyamaka-sastra, Tattvarthapatala of the Bodhisattvabhumi
윤종갑 ( Yun Jong-gab )
인도철학 53권 163-196(34pages)
UCI I410-ECN-0102-2018-100-003668413

나가르주나의 공사상은 일체를 부정한 것으로 설명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사실을 인식하는 나의 존재는 어떻게 현전(현존)할 수 있는가? 이 논문은 공과 나의 현실적 존재의 양립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나가르주나의 공사상은 나가르주나 당시는 물론이고 오늘날에도 일체를 부정하는 허무주의가 아닌가 하는 의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의심과 함께 후대의 학자들 가운데 일부는 나가르주나의 공사상은 일체를 부정한 것이 아닌 단지 본질(essentia)을 부정했을 뿐이고 실존(existentia)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즉 나가르주나의 공성을 올바르게 이해하면 진여(眞如)로서 현실적 존재가 인정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은 『보살지』(菩薩地) 「진실의품」(眞實義品)에 잘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공사상에서 최고의 진실로서의 진여의 측면과 나의 현전의 근거가 되는 언어 표현의 기체(基體)라는 두 측면을 갖고 있는 vast를 매개로 하여 현실적 존재로서의 나의 현전을 고찰하였다.

The thoughts of the Nagarjuna is said to be denying everything. So how can the existence of me be present? This paper looks at the compatibility of my real existence with that. Nagarjuna's construction minister is suspected of nihilism, which denies everything, not to mention it at that time, but also to this day. With this suspicion, some of the later scholars argued that Nagarjuna's work did not deny existentia, but merely the essentia. In other words, if you understand the Emptiness of Nagarjuna properly, you will be recognized as a realistic being. This is well documented in the Tattvarthapatala of the Bodhisattvabhumi Section.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ed my present status as a realistic being by means of intermediation concept ‘vastu’ that has two aspects, the true aspect of being the best truth in construction and the basis of language expression, underlying my existence.

Ⅰ. 서론
Ⅱ. 공과 나의 존재에 대한 해명
Ⅲ. 언어 표현과 사태(vastu), 그리고 나의 현전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