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불안장애 진단에 대한 K-CBCL 6-18의 임상적 유용성: 복지시설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The Clinical Utility of K-CBCL 6-18 in Diagnosing Anxiety Disorder: For use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hild Foster Care
김향지 ( Kim Hyang-ji ) , 하은혜 ( Ha Eun-hye )
DOI 10.17641/KAPT.21.3.4
UCI I410-ECN-0102-2018-100-004024477

본 연구에서는 복지시설 심리장애 아동ㆍ청소년의 불안장애 진단에서 K-CBCL 6-18 불안관련 지표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4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ㆍ재활 지원 시범 사업”에 참여하였고 아동복지시설에 거주하는 요보호아동 421명이며, 연구도구는 RCMAS와 K-CBCL 6-18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CBCL 6-18 불안관련 지표인 불안/우울, 위축/우울, 내재화 총점, 문제행동 총점, 강박증상, 외상후 스트레스 문제, DSM 불안문제 소척도와 RCMAS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척도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K-CBCL 6-18 불안관련 지표의 불안집단과 비불안집단 간 차이와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 위축/우울을 제외한 6가지 소척도가 불안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하게 변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판별적중률을 산출한 결과, K-CBCL 6-18 불안관련 지표의 판별적중률은 60-70%의 백분율을 나타냈다. 셋째, 불안장애 진단에서 K-CBCL 6-18 불안관련 지표 중 위축/우울을 제외한 6개 소척도의 ROC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각 민감도, 특이도와 최적의 절단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복지시설에 입소한 아동ㆍ청소년과 같이 다양한 심리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상황에서 불안장애를 진단할 때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K-CBCL 6-18 불안관련 지표의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linical utility of K-CBCL 6-18 in diagnosing anxiety disorder for children with psychological disorders in child foster care. The participants comprised 421 children(254 boys, 167 girls) living in child foster care throughout the nation. They were assessed by means of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6-18(K-CBCL 6-18) and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RCM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CMAS and Anxiety related scales of the K-CBCL 6-18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as a result of a t-test and analyzing the predictive value of the anxiety related scales of the K-CBCL 6-18 on the Anxiety and Non-Anxiety groups, six anxiety related scales of the K-CBCL 6-18 were discriminated significantly. The hit rate of the six anxiety related scales of the K-CBCL 6-18 was between 60-70%. Third, ROC curve analysis of anxiety related scales of the K-CBCL 6-18 were performed on the Anxiety and Non-Anxiety groups. As a result, sensitivity, specificity and optimal cut-off were verifi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