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4
216.73.216.184
close menu
KCI 등재
놀이적 상호작용의 치료적 의미: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어머니의 부모-자녀 관계치료(CPRT)에서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of Playful Interactions: In Child-Parent Relationship Therapy of a Child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his Mother
오경미 ( Oh Kyung-mi ) , 유미숙 ( Yoo Mee-sook )
DOI 10.17641/KAPT.21.3.1
UCI I410-ECN-0102-2018-100-004024508

이 연구는 CPRT 참여과정에서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어머니가 자녀와 가진 놀이적 상호작용의 현상학적인 특징과 그 상호작용의 본질적이고 치료적인 의미를 찾는데 목적이 있다. 그 현상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아동과 어머니에게 놀이는 익숙한 것을 잠시 내려놓고 익숙하지 않은 시도를 하는 것이었다.; 또한 놀이는 아동이 부여한 의미에 따라 새롭고 ‘특별한 공간’이 되고 놀이 세계와 현실세계에 자유로우면서 보이지 않는 경계가 있었다.; 그러나 놀이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아동과 어머니가 서로의 규칙을 지켜야 했다.; 그러한 과정에서 준호와 엄마는 자연스럽게 신체접촉을 하였다.; 어머니는 아동의 언어와 몸짓을 따라하고, 아동은 더 적극적으로 자신을 보이기 위해 언어와 몸짓을 반복하면서 서로를 이해하고 이해시키려 하였다.; 아동은 놀이 시간이 너무나 빨리 흐르는 것처럼 느꼈고 어머니는 현실에 놓여 있는 많은 장애물을 뒤로 한 채 가공해야 하는 시간이었다. 이러한 아동과 어머니의 놀이적 상호작용에는 다음과 같은 본질적인 치료적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아동과 어머니는 놀이 안에서 마치 역동적인 리듬에 맞춰 춤을 추듯 정서적으로 조율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놀이를 통해 아동은 더욱 주체적인 자신이, 어머니는 진정한 어머니 자신이 되어 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layful interactions of a child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his mother during CPRT participation. The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The play centered around the making attempts at the unfamiliar, free and invisible boundary between the play world and the real world was established. The participants then had to follow each other's rules to be able to play together. They were in natural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other followed the language and gestures of the child, and the child repeated in turn in order to show himself more. The child felt as if the play time was flowing too fast, but it was time for the mother to deliberately process. The interactions had the following essential therapeutic implications. They were emotionally tuning in effect, as if they were dancing to a dynamic rhythm. The child could become more subjective of himself, and the mother took upon herself a true mother rol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