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30
216.73.216.130
close menu
KCI 등재
『선원록(璿源錄)』에서 보이는 조선전기 국왕 후손의 신분변동 - 종성(宗姓) 여자후손을 중심으로 -
Social Mobility of Royal female descendants in Early Joseon Dynasty
박진 ( Park Jean )
고문서연구 53권 25-49(25pages)
UCI I410-ECN-0102-2018-900-003697267

조선 왕권의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강조한 적서의 원칙으로 인해 많은 왕실 서얼이 양산되자, 왕실은 이들을 위해 양인의 신분을 보장해 주는 특별한 제도를 마련했다. 이 제도의 혜택은 왕의 4대 후손까지 적용되어 그 범위내의 후손은 母系가 賤出이라도 양인이 되고 심지어 종친부에 제수 될 수 있었다. 양반 사족의 서얼이 한품서용되는 상황과 비교해 보았을 때 매우 큰 혜택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배경에서 국왕의 직계 종성 여자후손들이 혼인 시에 적처가 되지 못하고 첩이 되는 상황들이 발생했다. 일부일처제 아래에서 첩은 신분적으로 차별받는 후손을 양산하는 존재였기 때문에, 왕의 직계 후손이 첩이 되었다는 것은 곧 신분하락을 의미했다. 국왕의 여자 후손들은 모계의 영향 없이 거의 대부분은 적처의 신분이었다. 제도의 수혜를 받는 4대까지의 몇몇 후손에게서 爲妾 사례가 확인되었으나, 이는 科罪로 인한 신분 강등, 主婚者 간의 친분관계 등과 같은 환경적 영향이 작용했다. 그런데, 5대 후손부터는 조금 다른 양상이 파악된다. 태조-성종의 5,6대 종성 여자후손들은 인원 면에서 1-4대 후손보다 다수였지만 혼인관계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급격히 늘어났다. 1∼4대 후손 중에서도 代數가 멀어질수록 배우자들에 대한 정보가 점차적으로 소략하게 되어 관직이나 本貫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상당부분 존재함은 분명하지만 早卒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혼인관계가 확인된다. 그런데 5,6대 종성 여자후손은 심지어 혼인관계조차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예로 성종의 5대 종성여손은 전체 인원 중 18%, 6대는 24%에 달하는 인원의 혼인 여부 및 배우자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이것은 왕실의 종성 여자후손의 경우도 남자후손과 마찬가지로 4代 親盡을 기준으로 하여 급격히 차별되고 있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이 부분이 바로 국왕의 종성 여자후손이 신분하락을 겪게 되는 시점이다. 5-6대 후손이 1-4대 후손보다 인원수가 훨씬 많지만 혼인에 관련된 정보는 급격히 줄어들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첩이 되는 수치는 확연히 증가하였다. 5代 여자후손 중에서는 2.7%, 6代 후손 중에서는 3.6%가 적처가 되지 못하는 신분하락의 상황에 마주하게 된 것이다. 동일한 상황의 1-4대 여자 후손이 약 0.5% 정도였다는 점과 비교해 보았을 때 5대 후손과 6대 후손은 1-4대 후손 대비 약 5∼6배 이상으로 급증하였다. 혼인 상황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를 감안한다면 이 수치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국왕의 5代 후손은 父의 종친직 덕에 합법적으로 종량할 수 있었고 6代 후손은 그러한 신분적 혜택에서마저 벗어난 후손들이었다. 6대의 종성 여자후손은 왕실 족보에 기록될 수 있는 대상이었지만, 이러한 차이에 기인하여 5대 후손보다 신분 하락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 사례들을 모아 보았을 때 5대 후손까지는 母系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다. 즉, 爲妾함으로써 신분하락한 모든 인원이 첩 또는 첩의 취급을 받는 적처의 소생이라는 모계의 신분적 한계를 안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6대 후손부터는 母가 양인 적처임에도 불구하고 위첩하는 사례도 등장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왕 후손의 신분하락 요인은 하급 신분 출신 母의 소생이라는 신분적 한계와 왕으로부터의 혈연적 거리라는 제도적 조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국왕 직계 종성여자후손이 위첩하는 시기는 대략 16세기 말부터로 파악된다. 이 시기는 조선 건국 후 태조 이성계의 친진하는 후손이 등장하는 시기이며, 동시에 성리학적 가족질서가 어느 정도 확산되고 작동하여 적서의 논란이 잦아들고 차별 역시 분명해 지는 시기였다. 결국, 국왕 종성 여자후손의 신분하락 현상은 『선원록』의 수록 대상이 국왕의 종성 9대, 이성 6대 후손까지였지만 왕실의 후예로서 가문적 혈연적 특혜의 테두리 안에 있는 부류는 친진하지 않은 4대까지였음을 여실히 보여주며, 이 범위를 벗어난 국왕의 후손은 점차적으로 왕실의 배경을 벗고 신분제 사회에 녹아들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To show the legitimacy of Joseon dynasty, Kings emphasized the rule of discrimination based on the maternal line. The rule of discrimination resulted in lots of royal illegitimated descendants and Kings set the special institution that all illegitimated descendants of kings could keep their social status as commoners. The benefits of the system covered royal descendants ranging from the first to fourth generation from the king and these descendants could get the commoner status even though their mother’s lineage belonged to the lowest. Moreover male illegitimated descendants could obtain the bureaucrat’s post of government office for royal family members. Compare to the illegitimated descendants of yangban literati who could were in the restriction for the government post, this benefit was quite special favor. However, a few female descendants became the concubine of yangban literati. Being concubine meant the fall of social status because concubines under monogamy were the illegal wife who delivered illegitimated descendants. Even though we can see a few cases of becoming concubine among the descendants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generation that could get the benefits for them, the most of female descendants of kings became legal wife with no influence of their mother’s lineage of the lowest. All these cases were in the realm of particular environment like punishment of crime. But there was different aspect in the fifth generation descendants. Basically, the fifth and sixth generation were larger than from the first to fourth in their numbers. The more generation gap went down from the king, the less information we could get in the royal genealogy. In the case of the generation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we could see almost all member’s marriage status. On the other hand, the marriage information of fifth and sixth generation were not plentiful. For example, The 18% of the whole fifth generation female descendants and the 24% of the sixth had no record on their marriage status or husbands. This tells us there was the differentiation and discrimination of female descendants out of the fourth generation like male descendants. This, out of fourth generation, is the very point of mobility of social status to the fall. Through the less marriage information of fifth and sixth descendents, we can examines much higher percentage of the being concubine than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generation descendants. 2.7% among fifth female descendants and 3.6% among six could not become legal wife and fell to the status of concubines who delivered illegal descendants. This percentage is 5 or 6 times compare to the 1-4th generation. This figure could grow if we consider the less marriage information of 5th and 6th generation descendants. Even though the sixth generation female descendants could be enrolled on the royal genealogy, they met more serious circumstance compare to the fifth. Because all numbers of being concubine in 5th were the daughters of concubine but some in 6th who became concubine were the daughters of legal wife. Therefore, the reasons of changing social status of female royal descendant were their mothers lineage of concubine and the distance from the kings at the same time. Being concubine of royal descendants had started the end of 16th C. This is the moment that royal family met 5th generation for the first time after founding Joseon dynasty and Neo-Confucianism was spreaded and worked its role as a main orthodox emphasized the rule of discrimination in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the phenomenon of falling status of royal female descendant shows us that the special benefits for royal family covered only to the fourth generation female descendants even sixth could be registered in the royal genealogy. Out of the fourth generation were not the privileged components in the royal family and appeared into the status society as a yangban literati.

Ⅰ. 머리말
Ⅱ. 조선 전기 왕실 종성여자후손에 대한 처우와 인식
Ⅲ. 처첩제 사회에서 나타나는 왕실 종성여자후손의 신분변동 사례
Ⅳ. 종성 여자 후손 신분변동의 특징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