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성장기의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각 하위요인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 대학생 48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부모화, 대인관계문제, 내현적 자기애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의 매개효과 모형을 검증한 결과 내현적자기애의 하위요인인 인정욕구/거대자기환상, 착취/자기중심성, 과민/취약성은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반면, 소심/자신감 부족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내현적 자기애를 구성하는 인정욕구/거대자기환상, 착취/자기중심성, 과민/취약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화된 자녀가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할 때 그들의 특성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갖추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overt narcissism subtyp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in childhood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488 college students in D Metropolitan City completed a self report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ficati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covert narcissism. Seco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n mediating effect model of covert narcissism subtypes i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Need for recognition/giant self illusion, exploitation/self centeredness, and irritability/vulnerability i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while lack of confidence didn't mediate. This implies that parenfication indirectly affects through each sub-factor covert narcissism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the interpersonal problem. The study offers basic information on how to support parentified children.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