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5.72.233
3.145.72.233
close menu
}
KCI 등재
유아의 인지적·정서적 실행기능 발달과 언어 능력과의 관계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Hot and Cool Executive Fun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bility
김유미 ( Kim Yu-mi )
DOI 10.22155/JFECE.25.3.131.157
UCI I410-ECN-0102-2018-300-004021129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인지적 실행기능과 정서적 실행기능 발달 경향을 밝히고 언어 능력과의 관계를 상세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행기능 중 억제, 주의전환이 언어 능력과 관련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유아의 실행기능을 인지적 억제, 정서적 억제, 주의전환으로 구분하고, 언어 능력을 수용언어 능력과 표현언어 능력으로 세분하여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 유아의 실행기능 과제 수행에서 나타나는 천장효과에 주목하여 과제의 난이도를 높여 두 변인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3, 4, 5세 유아 178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분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이도를 높인 실행기능 과제는 천장효과를 줄일 수 있었다. 둘째, 유아의 실행기능 능력은 3∼5세를 거쳐 점진적으로 발달하며, 인지적 억제능력이 정서적 억제능력보다 선행하여 발달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의 실행기능과 언어 능력은 5세 유아에 비해 3, 4세 유아에게 보다 더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인지적 억제, 정서적 억제, 주의전환은 유아의 수용언어 능력을 예측하였고 인지적 억제, 정서적 억제는 표현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변인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유아의 실행기능의 하위 요인에 따른 발달경향을 연속성 상에서 살펴볼 수 있었고, 유아의 실행기능과 언어 능력의 관계를 세분하여 살펴보아 향후 교육현장에서 유아지도 시 고려할 점 및 유아기 실행기능 관련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hildren’s developmental change of executive fun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xecutive function(cool conflict inhibition, hot conflict inhibition, attentional shift) and language ability. A total of 178 children aged 3-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child was interviewed individually and responded questions designed to measure his/her executive function and language abilities. Statistics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re frequencies, means, standard deviations, one sampl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creasing the difficulty of EF-tasks were effective in reducing ceiling effects.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cool-hot conflict inhibition and attentional shift) according to children’s age. In Addition, cool conflict inhibition and hot conflict inhibition had different developmental patterns. Thir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related to their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cool-hot inhibition and attentional shift affected the receptive language ability, and cool-hot inhibition affected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y but the attentional shif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xpressive language abilit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children guidanc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cool-hot EF development and their language skill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