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ing in Place(AIP)는 자신이 익숙한 집이나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생활하면서 나이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AIP 패러다임의 핵심은 ‘사람 중심’ 또는 ‘수요자 중심’의 원칙에 있다. AIP는 1990년대를 전후하여 시작된 탈시설화(deinstitutiona-lization)와 지역사회 보호(community-based care) 패러다임이 발달하면서 등장하였고, 최근 선진국들은 AIP를 새로운 장기요양 모델로 수용하는 추세이다. 한국의 노인장기요양제도 현황을 AIP 관점에서 살펴보면 아직 걸음마 단계이며, 자신이 살아온 집과 지역사회에서 나이들기를 희망하는 대다수의 고령자들과 가족들을 위한 AIP 기반시설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AIP의 기술만으로는 수요자(사람) 중심의 보호체계 구축에 한계가 있으며, 지역사회가 함께 돌보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한국은 이제 AIP의 개념을 학습하면서 정책과 실천 현장에서 이를 적용해보고자 시도하는 단계이다. 장기요양과 관련된 AIP 현황을 보다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노인돌봄 서비스를 포함한 전체 지역사회보호 서비스 현황에 대한 추가 분석이 요구된다.
Aging in Place(AIP) is the ability to live in one's own home and community safely and independently regardless of age. AIP focuses on the needs of‘person’ and ‘clients.’ The term evolved from the phenomena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community-based care in the advanced aging nations and has become a major paradigm for long-term care policy and practice.
From the AIP perspective,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s still in early development stage in Korea, we need to build more infrastructure to meet the needs of the individuals who wish to grow older in his or her places. More comprehensive and in-depth analysis is needed on the array of care services for older people residing in their h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