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경성제대의 국제법학자 이즈미 아키라(泉哲)를 사례로 삼아, 하나의 학문분야로서 일본의 식민정책학이 어떻게 식민지의 실제 현실과 조우할 수 있었으며 그 조우의 결과는 어떠했는지를 검토한다. 이즈미 아키라는 1920년대를 대표하는 자유주의 식민정책학자로, 국제주의와 이상주의를 기반으로 동화주의를 표방했던 일본의 식민지통치가 가진 낙후성을 비판했던 것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 반동화주의자로서 그는 일본의 식민지들에 최종적으로는 토착민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통치되기를 희망하기도 했다. 이런 그가 1927년 경성제대 교수로 임명되었다. 식민정책학자가 식민정책의 현실 속에 뛰어든 것이다. 그는 왜 식민지로 갔던 것일까? 식민지에서 그는 어떻게 변했을까? 그런 변화는 식민지 특유의 제약의 산물이었을까, 아니면 그 자신의 이론이 가진 한계일까? 이 글에서는 이런 의문들에 대한 몇 가지 실마리를 찾아본다.
In this article I examines how ‘Colonial Policy Studies(CPS)’ as an area of academic research has encountered the actual reality of Japanese Colonies and what its implications are, through the case of Akira Izumi, a scholar of international law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It is well known that Akira Izumi was a liberalist scholar of CPS representing the 1920s Japan, criticizing Japan’s colonial rule of assimilationism based on internationalism and idealism. As anti-assimilationist, he also hoped that Japan’s colonies would finally be autonomously ruled by the colonized. However, he was appointed professor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1927. A idealistic scholar of CPS has jumped into the grim reality of colonial policies. Why did he go to colonial Korea? How did he change in this colony? Was such a change a product of colonial situations or limitations of his own CPS theory? This article explores some clues to these qu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