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기원문제는 한국학계의 주된 논의 대상이었고 이와 관련하여 고고학, 역사학, 민속학을 비롯하여 유전학 연구도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인 기원문제와 관련된 연구성과를 검토하여 한국인의 생물인류학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까지 발표된 생물인류학 자료인 두개골의 계측값, 두개골의 비계측적 특징, 분자생물학 연구, 그리고 치아인류학의 연구결과를 검토하였다. 지금까지의 생물인류학적 연구결과만을 고려해본다면 한국인의 몸속에는 신석기시대 이후 꾸준히 북방계(70∼60%)와 남방계(40∼30%)의 유전자가 혼합되어 한반도에서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최근 게놈분석의 연구결과를 통해 남방계 유전자의 영향이 더 커질 수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인 기원문제에 있어 앞으로도 생물인류학, 고고학, 민속학 등의 융·복합연구가 병행되어야 확실한 해답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issue of Korean people’s origin has been the main focus of attention in Korean academic society, and the answer regarding to that has been revealed little by little based on achievements of many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research achievements related to Korea people’s origin so far and look into biological anthropology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To that end, measuring values of skulls, non-measuring traits of skulls, molecular biology study, and research results of dental anthropology that have been published until now. When only the study results of biological anthropology made until now are considered, in the body of Korean people, since the Neolithic era genes of northern race (70∼60%) and southern race (40∼30%) are consistently mixed and stayed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study results of genome analogy found that the influence of southern genes would become greater. When it comes to Korean people’s origin, firm answers would be made only when fusion and combined researches of biological anthropology, archaeology, and folklore are cond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