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베트남 ‘라이따이한’에 관한 소고
A Study of Vietnam Lai Dai Han
이춘호 ( Lee, Chun Ho )
인문사회 21 9권 3호 487-501(15pages)
DOI 10.22143/HSS21.9.3.37
UCI I410-ECN-0102-2018-300-003911851

1992년 12월 한국과 베트남의 국교수교 이후 양국의 협력관계는 다양한 분야에서 급속한 확대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유사한 역사적 경험과 동아시아문화권이라는 공감대가 큰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근대 이후 양국은 베트남 전쟁을 통해 서로에게 상처를 남기기도 하였다. 라이따이한은 한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과 관련하여 태어난 한인 2세를 뜻한다. 라이따이한 문제는 4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신 라이따이한’이란 이름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이 연구는 라이따이한에 대한 역사문화적 검토를 통해 그 의미를 재조명했다. 라이따이한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동아시아 역사의 산물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한 거시적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은 이들을 법, 제도적 관점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포용적이고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South Korea and Vietnam have maintained formal diplomatic relations since December 1992 and the cooperation between both countries has brought a rapid expansion in various aspects. In this context, their similarities as East asian cultures and their common historical experience have played a big role. But, also the vietnam war left wounds in both countries. Lai Dai Han is the Vietnamese term used to refer to the mixed ancestry person born from a South Korean father and Vietnamese mother (including the victims of Korean soldiers and technicians during the Vietnam War). The Lai Dai Han problem is going on for over 40 years.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Lai Dai Han by doing a cultural and historical analysis of the phenomenon. The Lai Dai Han problem cannot be considered just a personal problem but a product of East Asian history and, therefore, a macro approach is needed to solve it. Moreover, South Korea has to make some effort to solve the problem from a inclusive and humanistic perspective rather than just looking at it from a legal and institutional point of view.

I. 들어가며
Ⅱ.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 변화
Ⅲ. ‘라이따이한’의 발생과 현재
Ⅳ. 베트남 ‘라이따이한’에 대한 한국의 태도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