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7
18.97.14.87
close menu
Accredited
중국 커피시장 분석과 한국 커피산업에의 시사점
An Analysis of Chinese Coffee Market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Coffee Industry
심재희 ( Shim Jae Hee ) , 김장호 ( Kim Jang Ho )
인문사회 21 vol. 9 iss. 3 341-353(13pages)
DOI 10.22143/HSS21.9.3.27
UCI I410-ECN-0102-2018-300-003911755

본 연구는 중국 커피시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커피산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문헌 고찰과 통계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중국에서 커피제품 소비가 급증하는 가운데 원두 등 수입이 증가하고 있고, 특정 계층이 소비를 주도하는 상황에서 일반 소비자들은 인스턴트 커피를 선호하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제품 구입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의 대한국 커피 무역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생두와 조제품이 주로 교역되고 있다. 중국 커피시장 환경은 커피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지원이 강화되고 있지만 인프라가 낙후되어 있고 커피를 기호식품으로 수용하면서도 차 문화 습관이 강하게 유지되고 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중국 커피 소비층을 타깃으로 하는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구사, 현지 업체를 활용하는 방식의 오프라인 인프라 구축, 제품군의 다양화와 고급화를 통한 대중국 커피 무역 확대, 중국 커피시장 발전을 위한 국내 커피산업의 노하우 적극 활용 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ses Chinese coffee market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statistical data and presents implications for Korean coffee indust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consumption of coffee products is increasing in Chinese market, and under the situation that a specific class leads coffee consumption, consumers tend to prefer instant coffee and usually purchase coffee products through online shopping malls. Trade of coffee products between Korea and China is decreasing and they usually trade green coffee beans and preparations. In the situation that Chinese coffee industry is still underdeveloped despite the government support for it, Chinese people have strongly stuck to tea drinking habits though they tend to accept coffee as a favorite food.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political strategies: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targeting coffee consumers, formation of offline infrastructures using Chinese companies, increase of coffee trade against China through diversification and qualification of products, etc.

I. 서 론
Ⅱ. 중국 커피시장 구조 및 특성
Ⅲ. 중국의 대한국 커피제품 무역 동향
Ⅳ. 중국 커피시장 SWOT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