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5.180.166
3.145.180.166
close menu
}
KCI 등재
대ᆞ중소유통업체의 상생발전을 위한 지역사회 기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l Contribution for the Mutual Cooperation between Large Retailers and Small and Medium Retailers
권민택 ( Kwon Min Taek )
UCI I410-ECN-0102-2018-300-004005378

유통업체간 갈등은 많은 사회적 비용의 초래와 더불어 대형유통업체와 경쟁관계를 가지는 중소유통업체 사이의 상생 문제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대형유통 업체와 중소유통업체간의 갈등 이슈를 분석하고, 전북 전주시의 대 중소유통업체의 상생협력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대형유통업체의 지역산품의 매입이 79.96%의 매우 낮은 수준이며, 대형유통업체내에 입주하는 임대매장 비율이 30%에 미치지 못하여 수수료매장을 임대매장으로 전환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둘째, 입주업체의 지역업체 비율은 74.9%이며, 이익의 지역환원 비율은 평균 0.07%로 아직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인력의 고용비율은 98%이상을 유지하고 있어 상생협력 차원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정규직의 경우에는 약 24%로 매우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폐기물처리만 도내업체와 계약하는 경향을 보여 지역상생차원에서 지역업체와의 용역계약을 독려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지역과의 밀착영영이나 상생을 위해서는 대형유통업체에서 지역산품 매입액을 증가시켜야 하며, 대형유통업체들이 부동산 임대업이라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임대매장으로 전환이 절실하다. 또한 상생차원에서 대형유통업체내에 입주하는 지역업체 비율을 90%를 목표로 확대하는 대책이 필요하며, 대형유통업체 이익의 지역사회환원비율을 0.2%로 높일 수 있도록 강력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경쟁력을 잃고 있는 지역의 중소유통점을 위해 지자체의 지원과 대형유통업체의 상생협력 의지가 함께 한다면 지역업체의 공생과 경쟁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Conflicts among retailers have led to enormous social costs. Additionally, now it has become an inescapable issue how two retailer groups, namely large retailers and small and medium retailers can grow together. This study analyzed the issues on conflicts between two retailer groups and also investigated the cases of their cooperative development in Jeonju-city.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large retailers' purchases of local products are very low in size, so it is necessary for them to increase their purchases of products produced from Jeonbuk for region-oriented management and co-existence. Second, as the proportion of area for leased stores in large retailers is less than 30%, greater efforts should be made to change fee-charged stores into leased stores. Third, it is necessary to take actions to expand the ratio of local companies in large retailers to 90%, the target level. Fourth, through strong actions, the ratio of large retailers' profits returned to the local community should be raised to 0.2%. Fifth, desirably, the employment rate of local workers is maintained over 98%fromthe perspective of mutually cooperative development. However, in the case of full-time workers except temporary and partner workers, the employment rate of local workers remains at the poor level of about 24%. Sixth, large retailers tend to contract with companies of the Jeonbuk region only for waste disposal. So,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m to increase contracts with local companies in terms of local co-development. It is expected that the support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willingness of cooperation of large retailers for small and medium-sized retailers in the locals that are losing competitiveness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co-existence and competitiveness of local companies.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대ㆍ중소유통업체의 상생발전 사례분석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