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Accredited
허균의 「견가림신」(譴加林神)에 나타난 민속지(民俗誌)적 성격과 그 의미
Heo Gyun's Literary Works: The Characteristics of Ethnography and Its Meaning
김풍기 ( Kim Punggi )
한문학논집 vol. 50 137-159(23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3758753

「견가림신」은 허균이 함열 귀양 시기에 지은 작품이다. 금강을 사이에 두고 남쪽은 함열이고 북쪽은 부여에 소속된 가림이라는 동네였다. 두 지역의 백성들은 서낭당을 모시고 있었는데, 허균은 작품 속에 그 풍속을 자세히 묘사하였다. 이 작품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되며, 각 부분은 내용, 시적 목소리, 사상적 층위 등에서 차이를 가진다. 첫째 부분은 가림 지역 서낭당의 神인 가림신이 비바람을 불러 일으켜서 문제를 만들고 이 때문에 백성들이 고통을 받는 현실을 읊었다. 함열 서낭당의 신인 함신이 자신의 남편인데 다른 여성 신과 사이좋게 지내자 질투가 나서 문제를 만든 것이다. 여기서 그는 남신과 여신을 따로 모시는 서낭당이 있는 두 지역 사이의 민속을 흥미롭게 묘사하고 있다. 조선 시대 유학자들이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는 소재를 허균이 자세하게 다루었다는 점에서 민속지적 성격을 지닌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가림신을 꾸짖기 위해 허균이 도교의 여러 신들을 부르는 내용이고, 세 번째 부분은 유교 윤리에 의해 지방관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이들 부분은 민간신앙에서 도교로, 다시 유교에 의해 그 사상적 층위가 정리된다. 표면적으로는 유교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도교와 민간신앙이 보이지 않는 기초를 만들고 있다. 이들 사이에서 허균은 도교에 바탕을 두고 민간신앙을 다루고자 하지만, 유교적 윤리로 사회 시스템을 만들어가야만 하는 유학자로서의 태도를 표면에 내세우고 있다. 이처럼 「견가림신」은 허균 시대의 일상이나 풍속을 자세하게 기록화함으로써 한 시대를 증언한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작품이다. 민간신앙이나 세시풍속과 같은 내용으로 작품을 창작하는 것은 자기 시대의 삶을 섬세하고 구체적으로 살핌으로써 문학이 일상으로부터 비롯하는 것, 일상어는 그러한 내용을 담아야 한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려고 한 허균의 문학론과 궤를 함께 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와 지역의 민속을 관찰하고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나아가 이를 내용으로 하여 기록을 남기는 행위는 민속지가 가지고 있는 특징에 값하는 것이다.

Gyeongalimshin(譴加林神) is a poetical work created by Heo Gyun during the period of his exile in Hamyeol. Hamyeol was located to the south side of Geum River and to the north, Garim, a part of Buyeo, lied. The people in these two areas were worshiping each Seonangshin, a village deity, in each Seonangdang, a shrine, and Heo Gyun describes this kind of traditional customs closely in his work. This verse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each of which has a difference in content, poetic voice, and an ideological level. The first part sings that people in these areas are suffering from distressing rainstorm which is caused by Garimshin, the goddess of Garim. Her husband Hamshin, the god of Hamyeol flirts with another goddess and this makes her feel fiercely jealous, thereby her bringing about troubles to people. Here, Heo Gyun interestingly describes the folklore between the two regions where people serve separately the goddess and the god in a different Seonangdang. This work has ethnographic feature in that it deals with these materials concretely that Confucian scholars at that time of Joseon Dynasty do not generally show much interest in. In the second part of this work, Heo Gyun calls many gods of Taoism to reprove Garimshin. The third part emphasizes that the local authorities should perform their duties on the basis of the Confucian ethics. These three parts indicate that the ideological level flows first into folk belief, second Taoism, and then Confucianism. Even though it appears to pursue Confucianism on the surface, it is actually built on Taoism and folk belief at the bottom. Between these levels, while Heo Gyun interprets folk beliefs on the basis of Taoism, he also shows an outward appearance of a Confucian scholar, who has to make a social system in agreement with Confucian ethics. Gyeongalimshin(譴加林神) is, thus, an interesting work since it narrates a certain period by recording the daily lives and the customs of his era in detail. Creating works dealing with folk beliefs or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with Heo Gyun's literary theory that an author has to write literary works reflecting on everyday life by deliberately and closely reading people's lives of his or her time and that everyday language should embody that reflection. It shows the very characteristics of ethnography that a writer observes the folklore of a time and a space when and where the writer lives, tries to listen carefully to people's voices, and then leaves a record referring to those contents.

1. 서론
2. 일상에 대한 관심과 새로운 정전(正典)의 발견
3. 「견가림신(遣加林神)」의 여러 층위와 허균의 민속지적 경향
4. 구비문학의 적극적 수용과 허균의 문학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