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예기(禮記)』 대동사회(大同社會)에 대한 고찰
A Study on Da-tong society in Liji
권정안 ( Jeung-an Kwon ) , 복대형 ( Dae-hyoung Bok )
한문고전연구 vol. 36 357-385(29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3747081

유학은 인류 전체가 인간답고 평화롭게 사는 이상사회에 대한 꿈을 끊임없이 추구해 왔으며, 『예기』 「예운」의 ‘대동’은 이런 유학적 이상사회의 한 비전을 보여준다. 본고는 老莊의 영향과 秦漢교체기의 역사적 경험이 반영된 대동사회에 대한 연구를 통해, 先秦유학의 사상들이 어떻게 그 사상의 기초를 이루고 있으며 그 사상적 의미는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大同’이란 서로 간에 존재하는 작은 차이를 넘어서 너와 나의 구분이 없이 전체가 하나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대동사회는 인류가 오랫동안 추구해온 평등이라는 가치와 이를 통한 전 인류적 평화와 통합을 핵심으로 한다. 본고는 이런 이해를 기반으로 『예기』의 대동사회가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회상과 이를 통해 드러나는 사상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혈연과 지역을 모두 아우르는 인류적 관점에 근거한 ‘公的 天下觀’을 제시하고 있다. 공적 천하관을 실현하는 현실적 방법은 ‘選賢與能’의 인재선발원칙을 군주에게까지 확대한 禪讓에 의한 권력이양으로 드러나며, 이를 통해 인류전체의 가치와 공동이익을 추구하는 인류단위의 사회상을 제시한다. 둘째, 보편적 人類愛를 실천하는 사회다. 이것은 ‘親親’의 사랑을 출발점으로 하여 ‘仁民’으로 확충해 나가는 유학의 인간애와 도덕중심의 가치관을 보여준다. 셋째, 安定된 삶과 복지가 구현된 사회다. 이는 모든 사람이 소외되거나 차별받지 않고 안정된 기반위에서 인간답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유학의 ‘各得其所’의 이상을 보여준다. 넷째, 사회적 信賴 회복과 국제적 平和가 실현된 사회이다. 대동사회는 구성원들이 능동적으로 美德을 발휘하며 信賴와 和睦이 구현된 사회로, 개인과 개인은 물론 집단과 집단이 신뢰를 바탕으로 평화롭게 공존하는 사회이다. 이것은 곧 유학이 지향하는 ‘平天下’의 이상이다. 이처럼 대동사회는 모든 구성원들이 혈연을 초월한 인류애를 실천하며 어느 누구도 소외되거나 차별받지 않고 안정된 삶의 기반위에서 인간답고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가는 사회이다. 그것은 ‘보편적 인류애’와 ‘미덕’에 근거하여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너와 나의 구별을 초월하여 서로를 신뢰하고 따뜻한 사랑을 실천하는 하나 된 세상이다. 이상과 같이 『예기』에서 보여주는 대동사회의 사회상은 老莊은 물론 墨家, 農家 등 선진시대 다양한 사상의 영향과 흔적을 찾아 볼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유교적 사상에 기반한 이상적 사회관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秦漢 교체기의 역사적 경험을 반영한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onfucianism has always pursued a dream of ideal society in which the whole humanity lives peacefully and humanely. The 'Da-tong[大同]' shows a vision of this kind of Conf ucian ideal society. 'Da-tong' means that the whole is unified without any distinction bet ween you and me, beyond the small difference that exists between each other. The detaile d social aspects that 'Da-tong' society shows and the ideological contents revealed through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based on the 'public view[公的 天下觀]'. The core contents of public view are revealed by power transfer driven by '禪讓' based on '選賢與能', suggesting the social aspects of humanity pursuing the values and common interests of the whole humanity. Second, it is a society that practices universal humanity. This shows the Confucian humanity and morality-centered values that are expanded into '仁民' with the 'love of paren ts[親親]' being a starting point. Third, it is a society in which people's stable lives and welfare are implemented. It represents the ideal of '各得其所' of Confucianism where all the people live humanly and happily on the basis of their stable society without alienation or discrimination. Fourth, social restoration of trust and peace have been realized. 'Da-tong' society is a society in which its members actively demonstrate 'virtues' and trust and harmony are embodied. It is a society where groups and groups as well as individuals and individuals coexist peacefully with trust. This is the ideal of '平天下' that Confucianism is aiming at. To sum up, ‘Da-tong’ society is a society in which all its members practice love for mankind transcending their kinship and live a humane and worthwhile life on the basis of stable life without alienation or discrimination. It is a unified world in which people care for the social underprivileged based on 'universal humanity' and 'virtues', trust each other and carry out warm love beyond the distinction between 'you and me'. 'Da-tong' society has been influenced by various ideologies, but basically shows the views of ideal society based on Confucian thought.

Ⅰ. 서론
Ⅱ. 大同과 小康의 사회상
Ⅲ. 大同의 사회상과 儒學的 의미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