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7
18.97.14.87
close menu
수원의 문화도시 조성 정책방향 모색 - 전주, 리버풀, 보스턴의 사례를 중심으로 -
Seeking Strategies for Suwon City to develop for Cultural City : A Case study of Jeonju, Korea, Liverpool, UK, and Boston, USA
송화성 ( Song Hwa-sung ) , 이한아름 ( Lee Han-ah-reum ) , 조경신 ( Cho Kyoung-shin )
여가관광연구 vol. 29 23-53(31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4204819

본 연구는 문화도시 선진 사례를 바탕으로 수원이 문화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외 문화도시 관련 보고서 및 유관기관의 자료를 검토하였고, 문화, 관광, 도시·조경, 복지·노인·아동 분야의 전문가와 수원에서 활동하고 있는 향토사학자, 문화예술인의 심층 면접의 내용분석을 통해 문화도시 수원을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 및 지역 전문가의 시각에서 총체적으로 접근하였다. 최종적으로 전주, 리버풀 보스턴을 사례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원만의 고유브랜드 확립, 시민의 생활이 곧 문화가 되는 도시 조성, 살고 싶은 수원, 생활환경에 기반한 문화복지 실현 등을 기본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urposed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cultural city in Suwon on the basis of advanced case studies. For thi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policies about cultural city. For holistic approach to cultural city, this paper conducted depth interview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perts in the field of culture, tourism, city, landscape, welfare, elderly and children. In addition, local experts in the field of Suwon also were interviewed. Based on the analysis of advanced cases of cultural cities on experts' recommendation and its content analysis, this paper was chose Jeonju, Korea, Liverpool, UK, and Boston, USA in population size, economic level, and composition of industry types. Through case study analysis of those citie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own brand identity, the formation of cultural city focused on citizens' life, making livable Suwon, and realization of culture welfare on the basis of living environment for basic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ultural city.

Ⅰ. 서론
Ⅱ. 분석의 틀 및 사례지역선정
Ⅲ. 문화도시 수원을 위한 사례분석
Ⅳ. 문화도시 수원의 조성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