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7
18.97.14.87
close menu
Accredited
라이프스타일 호텔에서 나타난 공간마케팅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Marketing in Lifestyle Hotel.
박정은 ( Jeongeun Park ) , 윤재은 ( Jeaeun Yoon )
UCI I410-ECN-0102-2018-600-004270750

(연구배경 및 목적)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는 사람들의 가치관이 변화함에 있어 라이프스타일이 다양해지고 이에 따라 호텔의 개념도 다양화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 호텔은 여행이나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목적으로 방문하고, 사람들의 취향을 존중하며 새롭게 느낄 수 있도록 맞춰나가고 있다. 라이프스타일 호텔은 획일화 되지 않고 다양하고, 복합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고객들이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감동을 전달받는 것은 공간마케팅의 목적으로 볼 수 있으며 다양한 추억을 쌓고 체험을 통하여 소비를 하는 것은 공간마케팅의 전략적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이에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호텔에서 나타난 공간마케팅의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과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먼저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배경 및 개념을 고찰하고,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알아본다. 그 후, 공간마케팅의 개념과 요소, 소비경향의 변화에 대해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호텔 공간분석 요소인 공간적 요소, 감성적 요소, 환경적 요소를 기반으로 하여 각 요소에 대한 키워드를 도출하고 국내 수도권을 중심으로 2014년 이후로 개관했으며, 3성급 이상인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사례로 한정하여 분석한다. (결과) 그 결과, 첫 번째로 공간적 요소의 경우, 가장 공통적으로 나타난 특성으로는 대상과 목적에 따라서 적합한 공간구조를 가진 합목적성이다. 여러사람들이 모여 사용하는 쿼드룸, 반려견과 함께 지내는 바크룸 등이 있으며 일부는 기능에 따라 공간이 구성되어 있기도 하였다. 두 번째, 감성적 요소의 경우, 고객중심으로 이루어진 서비스를 통해 고객들과의 상호작용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라이프스타일 호텔에서는 일정부분의 공간을 이용하여 문화를 공유하기도 하고, 일부는 호텔에서는 영감을 받아 전체적인 스토리를 통해 감성적인 요소를 부각시키기도 하였다. 세 번째, 환경적 요소의 경우, 현시대의 트랜드에 맞춰 변화되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지속성에 대해 알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공간으로 고객들과의 소통과 사회단체를 통해 공유가치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써 활용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사례 분석한 결과를 보면 키워드로 도출된 특성이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사례에서 전반적으로 고르게 적용되어 있으며 또한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특성은 공간마케팅과의 연관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공간마케팅적 특성을 통해 라이프스타일호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is fast-paced society, lifestyle has diversifi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hanges in people’s values; the concept of the hotel has also diversified to meet this trend. The lifestyle hotel is adapting to meet the standards of not only those who visit the hotel for travel or business but also other people who have different purposes based on their own tastes. A lifestyle hotel is not a uniform, but rather a diverse and complex space. Receiving an impression by utilizing the space can be seen as the purpose of space marketing. In addition, receiving customers’ emotions through the use of space can be seen as a secondary purpose of space marketing. Creating a variety of memories and consuming through experience is also a strategic element of space marketing. As such,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marketing evident in the lifestyle hotel. (Method) This research studies the background and concept of the lifestyle hotel using existing literature and research to identify the change in lifestyle. Based on lifestyle hotel spatial analysis elements, emotion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company derived keywords for each element, and applied it to hotels of three stars or more in the local metropolitan area since 2014. (Results) As a result, for the first spatial element,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 was revealed to the combinability with a suitable spatial structure depending on the object and purpose. For example, there are four-person rooms available as well as backrooms for dogs, with some spaces are organiz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 Second, for emotional elements,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customers is noticeable in customer-centric services. Third, in the case of the environmental element, we can see the continuity of lifestyle hotels, which are adapting to current trend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usability is a factor: hotels communicate with customers in various spaces and create a sense of shared value through social organization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keywords can be applied uniformly throughout the lifestyle hotels a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style hotels are related to spatial marketing.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in the field of lifestyle hotel research through its identification of the spatial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hotels.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공간마케팅 요소
4. 종합분석
5. 결론
References
Endnot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