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평가사가 제공하는 신용등급(AR)과 채권수익률에 기반한 채권내재등급(BIR)은 동일한 대상의 신용위험에 대한 서로 다른 측정 지표로서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다. AR이 공개된 기업정보에 기초하여 신용위험을 평가하는데 반해, BIR는 기업의 미래 수익과 위험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에 대한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다. 따라서 BIR과 AR간 차이는 다양한 함의를 포함하고 기업의 재무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BIR과 AR간 차이를 향후 신용등급변경가능성의 지표로 삼고, 기업의 경영진이 향후의 신용등급변경가능성을 반영하여 부채조달을 줄이려는지(CR-CS가설), 아니면 경영진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비대칭을 활용하여 부채조달을 늘리려는지(시장적시성가설)를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 국내시장에도 BIR이 향후 AR의 변화를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BIR과 AR 차이로 측정한 향후 신용등급의 변경가능성이 유효한 정보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등급하락이 예상되고 등급하락정도가 커질수록 부채조달을 줄이나 등급상승이 예상되면 부채조달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비대칭적인 CR-CS가설을 보여 Kisgen(2009)를 지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최초로 BIR과 AR 차이를 사용하여 향후 신용등급변경가능성을 측정하여, 자금조달과의 관계를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기업의 재무의사결정과 시장참여자들에게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difference between AR and BIR can have an useful information on the possibility of credit rating changes and affects the firm’s debt financing.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m’s debt financing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ratings. Management can decrease debt financing when the difference is enlarged, reflecting the possibility of credit rating changes (CR-CS hypothesis, Kisgen, 2006). On the other hand, management can increase debt financing, using the current asymmetric information held by the management (market timing hypothesis).
Major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it shows that BIR in the Korean market leads the change of AR. Secondly, when the rating is expected to downgrade and that the degree of the downgrade is high, firms reduce their current debt financing to prevent the downgrade.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sibility of credit rating changes and debt financing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BIR and 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