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21.92.87
3.21.92.87
close menu
}
KCI 등재
한국과 대만의 무역관계: 주요 수출산업에서의 GVC구조
Trades between Korea and Taiwan: The GVC Structure in Major Exporting Industries
이창수 ( Chang-soo Lee ) , 송백훈 ( Backhoon Song )
UCI I410-ECN-0102-2018-300-004045729

본 연구는 한국과 대만의 주요 수출산업의 무역구조를 글로벌가치사슬(GVC)과 부가가치수출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먼저, 본 연구는 한국과 대만간의 주요수출산업을 명확하게 하고, 중국, 일본 등 주요 아시아국가와의 부가가치 현시비교우위지수(value-adde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를 비교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대만의 수출은 전기전자, 화학, 기초금속산업에 집중되어 있으며, 대만과 한국 모두 동산업에서 대세계비교우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동일한 산업에서 두 나라가 경쟁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WWZ(2013)의 방법론을 통해 대만과 한국이 중국과의 무역관계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양국 모두 동아시아 글로벌가치사슬에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국의 전기전자 및 기초금속산업은 상호의존적인 생산가치사슬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화학산업은 GVC의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반면, 대만은 한국으로부터 중간재를 수입하여 제3국에 수출하는 형태로 GVC에 참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rade structure in four major trading industries between Taiwan and Korea in the frame of Global Value Chain(GVC) and value-added exports. First, this paper identifies major exporting industries of Taiwan and Korea, and shows the value-added RCA of major Asian countries. We found that Taiwan’s exports are heavily concentrated on three industries(Electronics, Chemicals, and Basic metal) and that both Taiwan and Korea have comparative advantage in all of three industries. Second, we decompose both countries’ industrial exports to China into sixteen terms based on the method of Wang, Wei, and Zhu(2013), and find that both countrie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East Asian supply chains. Finally, we decompose the industrial exports between Taiwan and Korea by the same method. We found that electronics and basic metal industries of Taiwan and Korea build important and interdependent production value chains to maintain higher competitiveness. Korea’s chemical industry is located upper stream of GVC while Taiwan reexports its products to the 3rd countries by importing intermediate goods from Korea. Refined petroleum industries of both countries have high competitiveness and participate in GVC actively.

Ⅰ. Introduction
Ⅱ. Overview of Trade Relation of Taiwan and Korea
Ⅲ. Data and Empirical Framework
Ⅳ. Results and Implications
V. Summary and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