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사회적 경제에 관한 경제지리학의 연구 주제
Economic Geographical Research Agenda for Social Economy
주성재 ( Sungjae Choo ) , 노경란 ( Kyeongran Roh )
UCI I410-ECN-0102-2018-300-004016242

이 연구는 사회적 경제에 관한 학술적 관심과 정책적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주목하여 사회적 경제를 공간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지리학의 연구 주제를 정리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사회적 경제가 갖는 사회적 가치의 추구라는 지향성은 독특한 공간 특성을 나타낼 것이라 보았고, 이를 위해 사회혁신, 사회적 경제조직, 사회적 기업 등 관련 개념을 통해 공간적 의미를 갖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사회적 경제의 공간적 맥락을 이해하는 방법으로서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발현되는 공간의 성격, 사회적 경제조직의 의사결정이 갖는 장소기반의 맥락, 사회적 문제 해결이라는 수요와 사회적 경제조직의 활동을 지원하는 공급의 특성이 상호작용하며 만들어가는 공간의 특성에 주목할 것이 제안된다. 사회혁신클러스터에 대해서는 기존의 산업클러스터와 차별화되는 특성을 밝히는 것이 중요함을 지적한다. 지역사회와 갖는 밀착의 본질, 당위성, 요소에 대해서는 착근성 개념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Taking note of growing tendency of academic interests and policy applications with regard to social economy, this study aims to suggest economic geographical agenda for social economy. It is presumed that the orientation of social economy toward pursuing social value will exhibit unique spatial characteristics. Elements containing spatial implication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a review of hierarchial concepts including social innovation, social economy organization and social enterprise. Three approached are suggested as tools of understanding the spatial context of social economy: spatial characteristics inspiring social entrepreneurship, place-based context of decision-making by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nd spaces formulated by interactions between the demand for solving social problems and the supply of economic resources. The investigation of social innovation clusters is required to focus on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from normal industrial cluster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embeddedness be applied in the search of the essence and elements of social economy’s ties with local community.

1. 서론
2. 사회적 경제의 이해와 주요 이슈
3. 사회적 경제의 지리학적 연구주제
4. 결론
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