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5
18.97.14.85
close menu
Accredited
혼잡통행료 산정에 관한 연구 - 중국 베이징의 사례 -
A Study on Congestion Toll Pricing: The Case of Beijing, China
강설 ( Xue Jiang ) , 김호연 ( Ho Yeon Kim )
UCI I410-ECN-0102-2018-300-004016282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중국 베이징에서 교통혼잡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혼잡통행료는 도로의 정체를 해결해주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인데, 이의 시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제는 혼잡통행료의 산출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연구와 달리 본 논문은 이론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세 가지의 현실적 문제, 즉, 통행속도와 밀도의 관계, 통행의 시간비용, 최적통행량 산정방법의 도출에 집중하였다. 먼저 회귀분석을 통하여 통행속도와 밀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어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통행의 시간비용을 추정하였다. 또한 수요곡선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더라도 시행착오를 거쳐서 최적통행량을 산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베이징 제2순환도로의 혼잡통행료 책정 시스템을 설계하고 요금의 적절한 징수방안을 제안하였다.

Due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traffic congestion has become a dire concern in Beijing, China. Levying a congestion toll is seen a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to the problem. Building a congestion pricing model is a crucial step in implementing a workable toll scheme. Unlike previous attempts, this study not only covers the theoretical discussion but also considers three practical issues: the speed-density relationship, the value of travel time savings, and the determination of optimal traffic volume. We estimate the speed-density relationship by regression models and the value of travel time saved through survey results. We further suggest a way through which the government could identify the optimal traffic flow by a series of trial-and-errors, without the knowledge of exact road demand structure. Finally, a practical tolling scheme is proposed for Beijing’s second ring road along with some policy recommendations.

1. 서론
2. 선행연구
3. 분석 모형
4. 현실적 문제
5. 혼잡통행료의 산정 및 정책적 함의
6. 결론
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