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90
18.97.14.90
close menu
Accredited
탈남한 탈북 난민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 : 캐나다 토론토 거주자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Left South Korea : A Case Study of Residents in Toronto, Canada
손명희 ( Son Myong Hee )
UCI I410-ECN-0102-2018-300-003998758

2000년대 중반 이후 국내 입국한 북한이탈주민들이 해외로 나가는 사례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들은 한국을 떠나 한국 국민임을 증명하는 여권을 숨기고 제 3국에서 난민신청을 한다. 이러한 사례는 2007년 영국을 시작으로 그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한국 사회를 스스로 떠나는 ‘사회 이탈’의 모습인 ‘탈남((脫南)’은 하나의 ‘현상’이라고 부를 만큼 유행처럼 번졌다. 점차 늘어난 탈북 난민들의 주 목적지는 2010년 이후 캐나다로 바뀌었고, 2013년에는 캐나다의 탈북 난민신청자수가 700명을 넘어섰다. 이들은 자신들이 한국을 통해 들어온 사실을 숨기고 북한을 탈출해 캐나다로 바로 들어온 것처럼 난민 신청을 했다. 이 글의 목적은 그 당시 캐나다에 체류 중이던 탈남한 탈북 난민이 캐나다에서 어떻게 적응해 살고 있는 지에 대해 살펴보는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캐나다 토론토에 살고 있는 탈북 난민 14명을 심층 인터뷰했다.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심리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적응 실태를 분석했다. 또 이들이 한국을 떠난 이유와 입국할 나라를 선택하는 배경 등을 파악해 이러한 요인들이 캐나다 사회 적응과 관련성이 있는지도 살펴보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North Korean refugees who left Korea at that time were adapting to Canada. Since the mid-2000s, North Korean refugees have begun to go abroad. They left Korea and hid a passport proving that they were Korean citizens. They also applied for refugees in third countries. These cases have increased explosively in the UK since 2007. An increasing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destination has moved to Canada after 2010. Especially more than 700 refugees have applied for refugee status in Canada by 2013. I interviewed fourteen North Korean refugees living in Toronto, Canada and examined their psychological, economic, socio-cultural adaptation. I also tried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of adaption between the reasons why they had left Korea and then chosen Canada.

Ⅰ. 서론
Ⅱ. 연구 범위 및 방법
Ⅲ. 기존연구 검토
Ⅳ. 탈남한 탈북 난민의 배경
Ⅴ. 캐나다에서의 적응 실태
Ⅵ.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