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학생이 현재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의사소통능력에 대해 어느 정도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 111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SoCQ를 활용하여 NCS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관심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그 결과 대학생의 NCS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관심도 1단계(정보적)가 가장 높으며, 4단계(결과적)의 관심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생은 현재 NCS 의사소통능력에 대해 제한된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성별에 대한 각 관심단계의 통계적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진로결정여부에 따른 차이는 3단계(운영적)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편 이와 같은 결과는 진로에 대한 결정이 대학생의 NCS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NCS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이들 스스로 진로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이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stages of concern about communication competency as key competency in Korea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So w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about the degree of concern in communication competency of 111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As a result, the overall concern in communication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was similar to that of non-user patterns among four types of concern patterns. In other words, college students want to know more about communication competency, but they are only aware of the general facts.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cern in communication competency according to gender variable. But according to state of one’s path in life decision,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cern is significant statistically exclusive of the stage of management. In summary, the decision to work for a college student has a big impact on getting interested in work-related competencies, especially communication compet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