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는 정신을 천재 예술가만이 갖는 특별한 능력으로 언급하면서도, 그것이 어떻게 창작을 가능하게 하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는다. 본 논문은 정신과 판단력을 동일시함으로써 창작과정에서 정신의 활동을 추적해보려고 한다. 그에 따르면 미감적으로 반성하는 판단력은 상상력과 지성의 능력을 확장하는데, 창작을 위해 정신이 하는 일이 바로 이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론에서는 칸트미학 안에서 정신을 판단력과 동일시하려는 이유를 밝힌다(2장). 칸트는 단편 반성 에서 판단력을 정신과 함께 예술가의 천재성을 구성하는 능력으로서 간주한다. 판단력에 대해서는 그가 판단력 비판 에서 충분히 해명하고 있는 바, 이를 토대로 창작하는 정신의 활동을 구체화하려고 한다. 한편 창작의 중요한 조건으로서 취미가 하는 역할을 다룬다(3장). 취미는 작품의 보편타당한 미적 가치를 쾌 또는 불쾌로 평가하는 판단력이다. 그러나 창작을 위해 취미가 하는 역할은 오히려 창작 활동을 방해하는 것이다. 칸트는 평가능력이 어떤 방식으로 창작을 방해하는지 설명하지 않지만, 필자는 불쾌에 의한 평가로부터 취미의 역할을 구체화해본다. 왜냐하면 ‘작품이 아름답지 않다’는 평가는 예술가의 창작 의지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칸트가 제시하는 판정 사례들을 보면 이러한 부정적 평가는 판정자가 자신 또는 상대의 판정의 결함을 알아차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깨닫는 것은 고통이지만, 미적 결함을 극복할 수만 있다면 예술가는 더 나은 창작물을 산출할수 있다. 따라서 본론 마지막 장에서는 정신이 취미의 비판을 어떻게 수용해서 창작으로 승화시키는지를 보여주려고 한다(4장). 요약하자면 예술품을 아름답게 산출하기 위해 정신은 개념을 찾아 이념을 현시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상력이 이념을 포착하는 근원적인 활동까지 총체적으로 관여하게 된다. 따라서 결론에서는 창작의 문제는 상상력 중심이 아니라, 판단력 중심으로 다뤄져야 함을 역설한다(5장). 왜냐하면 판단력의 지시에 따라 상상력의 이념은 전혀 다르게 현시될 것이기 때문이다. 상상력을 창조적으로 만드는 것은 창조적 판단력, 즉 정신이다.
Immanuel Kant mentioned spirit as a special ability possessed only by genius artist, but did not elaborate on how it makes creation possible. This paper seeks to trace the activities of the mind in the process of creation by identifying the spirit and judgment of artist. According to Kant, aesthetic reflective judgment extends to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because that is what the spirit does in creation. In this sense, I first reveal the reason to identify spirit with judgment in Kant’s aesthetics(Chapter2). Judgment is regarded as one of abilities to consist of the genius of the artist along with the spirit in his fragment of From the Reflections on Aesthetics. Kant explains in detail judgment in Critique of Judgment , and based on this, I try to definitize his special spiritual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as an important condition of creation, I deal with the judgments of taste separately to spirit (Chapter 3). Taste is the ability to judge the universal validity of the beauty of a work through pleasure or displeasure. According to Kant, the role of taste in creation is to interfere with the abilities of creation. He does not explain how the ability of m ere evaluation interferes with creation, but I seek to derive the role of taste from the judgment of taste through displeasure. For if a work produced by artist is not beautiful, it can break his own creative will. However, in the cases of the judgment of taste presented by Kant, these negative evaluations mean that I have noticed the fault in m y―or m y opponent's―judgment. Realizing this can be painful, but if the artist can overcome their aesthetic mistakes, they can produce better creations. In the last chapter of this main section, I try to show how spirit embraces the criticism of taste and sublimates it into creation (Chapter 4). To summarize, in order to produce beautiful artworks, spirit is involved not only in discovering a concept, but also in the fundamental activity of capturing the idea through the imagination. Therefore, in conclusion, I emphasize that the problem of creation should be is not imagination, but judgment (Chapter 5). This is because the idea of imagination is represented as something complete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structions of judgment. Creative judgment, i.e. spirit, makes the imagination cre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