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90
18.97.14.90
close menu
Accredited
『병자일기』 화자의 시간 인식과 기술 방식
The time recognition and the descriptive method of Byungjailgi’s Speaker
김보현 ( Kim Bohyun )
기호학 연구 vol. 55 77-100(24pages)
DOI 10.24825/SI.55.3
UCI I410-ECN-0102-2018-700-003747826

이 일기에는 1636년 12월 병자호란이 발발하여 피란를 떠나는 시점부터 피란지에서의 생활, 서울로 귀환한 후 남편과의 생활이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는 텍스트에서 대상이 기술대상과 대상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병자일기』가 비극적 경험을 의미화하는 방식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2장에서는 『병자일기』에 기술된 내용을 분류하고, 3장에서는 기술대상에 대한 화자의 시간 인식, 화자의 유형, 기술 방식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병자일기』 속의 시간을 과거와 현재라는 개념적 시간, 사적이거나 공적시간인 관계적 시간, 일상과 비일상이라는 경험적 시간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 시간들은 현재의 일상·비일상적 시간, 공적 시간을 기술하는 화자와 과거의 비일상적 시간과 사적 시간을 기술하는 화자로 재통합된다. 또한 동종화자는 일상적 시간과 공적 시간을 기록적으로 보여주고, 이종화자는 주기적 시간과 사적 시간을 서술적으로 형상화 한다. 이러한 논의는 『병자일기』를 역사와 개인의 비일상적 시간들이 역사와 개인의 일상적 시간 속에 구현된 텍스트임을 보여준다.

Byungjailgi is a diary written by Nampyeong Cho, from 63 to 67 years old, 3 years and 8 months. The contents of the diary consist of the journeys to escape from the Byeongjahoran, her life in the evacuation site, and her life with her husband after returning to Seoul. I want to see the processes by which Byungjailgi means some tragic experiences, by analyzing how the objects are described in the text and the speaker's attitude toward them. In Chapter 2, I categorized the contents of Byungjailgi, and In Chapter 3, I compared the speaker's perception of time, the speaker's type, and the speaker's method of expression. As a result, the times of the text could be divided into conceptual (past and present), relative (private or public), and empirical (routine or non-routine). These times are integrated into two speakers, one describes the current routine, current non-routine, and public time, and another describes the past non-routine and personal times. Among these speakers, the homogeneous speaker records daily and public time, while the heterogeneous speaker describes periodic and private time. This discussion shows that Byungjailgi is a text in which the non-routine time of history and individual is implemented in the routine time of history and individual.

Ⅰ. 서론
Ⅱ. 『병자일기』의 내용 분류
Ⅲ. 『병자일기』의 시간 인식과 화자 유형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