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년층 1인가구의 취업결정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1차 자료(2016년)를 이용하여 50-64세 1인가구 26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 가구소득수준, 공적연금 보유여부, 직업훈련·취업지원서비스 이용여부가 취업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장년 층 1인가구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저소득가구에 비해 일반가구일 경우, 공적연금을 보유할수록, 직업훈련·취업지원서비스 이용경험이 있을 경우 이들의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년층 1인가구의 취업가능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mployment determinants of late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The study used Wave 11(2016)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study group targets are 263 people aged 50-64 living alon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household income level, public pension, employment service were the major predictors. The following cases showed a higher possibility of employment: When late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perceive thei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re better, are not low income household, have public pension, and have employment service experien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