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02.48
18.191.202.48
close menu
KCI 등재
환경 문제, 시민지식 그리고 시민과학 - 시민과학의 환경 문제 해결 가능성과 과제 -
Environmental Problems, Citizen Knowledge, and Citizen Science - Chance and Challenges of Citizen Science in Environmental Problems -
박진희 ( Park Jin Hee ) , 강윤재 ( Kang Yunjae )
환경철학 25권 93-124(32pages)
UCI I410-ECN-0102-2018-100-003669243

환경 위험이 지니는 복잡성이 전문 지식의 불확실성을 증가시켜 환경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 가치와 과학적 사실이 분리되어 있지 않으며 환경 문제 해결에 시민 지식이 기여한 바가 제대로 평가되지 않았다는 점, 확대된 시티즌십 논의 등이 환경 문제 해결에의 시민참여에 정당성을 부여해왔다.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제도화된 합의회의, 배심원제 등 숙의형 시민참여제도는 전문가 중심의 환경 문제 해결의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역할을 해왔다. 이들 제도는 위험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정책 결정에 시민참여를 보장함으로써 정책 수용성을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제도가 정부에 의해 지정된 의제만을 다룰 수 있고 참여 시민이 제한적이고 시민 지식의 기여도 또한 제한적이며 전문가와 시민의 협업이 극히 협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반 시민의 자연에 대한 호기심에서 점차 생태계 보존의 차원으로 진행되어 온 시민과학이 기존 시민참여 제도를 보완해 줄 또 다른 시민참여형 환경문제 해결 방안이 될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시민과학이 지니는 대량의 데이터 수집의 가능성과 글로벌 연계는 기후, 환경과학이 마주하는 지식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거나 약화에 기여할 수 있다. 환경문제 해결에 나섰던 국내외 시민과학 사례들은 시민과학이 전문가 지식을 보완하여 문제해결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실제 지역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시민지식에 근거한 대안 방법과 기술개발을 통해 과학 연구에의 시민참여 확장을 가능하게 했고 환경정책 개선을 결과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런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시민과학은 데이터 품질 관리, 전문가와 시민간의 지속적 협업 확대, 지원 정책 부재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It became more difficult to find solutions of environmental problems, because the complexity of environmental risks amplified uncertainty of expert knowledge. The citizen participative problem solving in the area of environment gains legitimation on the ground of extended citizenship, value-embedded scientific facts and ignorance of citizen knowledge. The deliberative democratic institutes like consensus conference and citizen jury helped to enhance public acceptance of environmental policies and to activate risk communication. However they are criticized in terms of citizen’s limited role. In the consensus conference or citizen jury only the issues determined by government are discussed and the cooperation between citizen and expert is also constrained. Citizen Science has been evolved from the by curiosity driven nature observation activity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y. This citizen science can be a new form of citizen participative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The uncertainty of knowledge in climate and environmental science could be lowered on the behalf of mass data collection and global research by citizen science. The cases of citizen science which focused on the local environmental problems showed that citizen science could contribute to local problem-solving by collecting and analysing expert-complementary data. We found also that citizen science extended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method based on citizen knowledge. The practice of citizen science could improve the acceptability of environmental policies. Although citizen science has positive effects, it should overcome various obstacles such as low quality of data, weak cooperation between experts and citizen, deficit of systemized governmental support.

I. 서론
II. 환경 문제와 시민참여
Ⅲ. 시민과학과 환경 문제
Ⅳ. 환경 관련 시민과학 사례 분석
Ⅴ. 환경문제 해결에서 시민과학의 가능성과 과제
Ⅵ.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