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7
18.97.14.87
close menu
Accredited SCOPUS
토복령의 항산화 및 산화적 DNA 손상억제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of Smilax china root
장태원 ( Tae-won Jang ) , 오창근 ( Chang-gun Oh ) , 박재호 ( Jae-ho Park )
UCI I410-ECN-0102-2018-500-004256304

최근까지도, 현대사회의 암 발생률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인체 내부에서 내재적 또는 외재적인 요인에 의해 DNA 손상이 발생되고, 세포는 DNA 손상에 대한 방어기작을 통해 스스로를 방어한다. 또한, 비정상적인 DNA 생성 및 결손된 DNA 가닥의 복원은 노화, 암, 염증 등 다양한 질병으로부터 기인한다. 많은 연구자는 이러한 DNA 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절한 소재 탐색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으며, 특히 합성화합물의 부작용이 알려지면서,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암 예방적 소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복령은 백합과(Liliacese)에 속하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의 근경이며, 전통적으로 해독과 종기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토복령의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토복령의 항산화 효과 및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식물이 포함하는 phenolic 화합물의 활성과 연관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토복령 추출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으며,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HPLC 분석을 통해 phenolic 화합물을 정량 및 동정하였으며, 항산화 효과와 phenolic 화합물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OH- 라디칼 및 Fe2+으로 유발된 plasmid DNA 손상에 대한 방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 수준에서, DNA 손상에 대한 저해 효과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NIH 3T3 세포의 γ-H2AX 및 p53 단백질 발현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H2AX 및 p53 mRNA 수준의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토복령 추출물의 phenolic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 및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Recently, cancer incidence in modern society is increasing sharply. DNA damage is caused by intrinsic or extrinsic factors in the human body, cells protect themselves by defense mechanism against DNA damage. Also, Aberrant DNA and deficient DNA repair are closely associated with various diseases, including aging and cancer.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search for proper materials to inhibition for DNA damage. As knew the side effects of synthetic antioxidant, som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about cancer prevention materials derived from nature. Root of Smilax china, in Liliaceae, is used detoxification and tumor treatments traditionally. However, studies on the inhibitory effect of DNA damage haven’t progressed. In this study,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of S. china root were confirmed, relationship between thos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in plants were established. S. china root effectively removed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s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s. The quant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were confirm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its antioxidant activity was associated with some phenolic compounds. In addition, protective effects against hydroxyl radicals and ferrous ion-induced oxidative DNA damage were confirmed in plasmid DNA. In the cellular levels, S. china root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γ-H2AX and p53 protein in NIH 3T3. Besides, S. china root suppressed H2AX and p53 mRNA levels. In conclusion, S. china root had the effect on DNA protection and antioxidan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