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19세기 조선 문인들간의 교유시 금·원대시가 차운되는 양상에 주목하였다. 특정 교유집단 내에서의 금·원대시에 대한 공동 차운이나 화제공유는, 문인 개개인의 차원을 넘어선 시학적 기호의 공유와 파급을 의미하는 현상으로서 주목될 필요가 있다. 또한 금·원대시 차운은, 전반적인 시학의 변동과 금·원대시의 독서 및 인지가 실제 문학 창작의 장에서 최종적으로 접합, 구현된 활동이라는 금·원대시 수용사 면에서의 의미를 갖는다. 금·원대시에 대한 차운과 우호적 담론화는 연암일파에게서 나타난 이후 19세기 조선 시단으로 이어지며, 이는 금·원대시의 위상 제고를 포함하는 조·청 시론 전반의 변동이 포함된 시학적 지표이다.
Several Jin and Yuan dynasty poems using rhyming words in the 19th Century late Joseon period, also was verified in Yeon-Am group, indicated how this poetry was read and utilized in literary creative writ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Many of writers in the 19th Century late Joseon period commented favorably on not only poetry written by main authors but also little-known Jin and Yuan dynasty poetry in general. The phenomenon that Jin and Yuan dynasty poetry were given a favorable reception is associated with the aspect that uniform criteria were weakened which estimated specific period such Tang and Song dynasty highly. Instead, criticism based on more fundamental literary nature or other standard was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