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사들로부터의 아동폭력 행위를 줄이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들이 유아 또는 학부모, 상급자와 동료교사들에게서 경험하는 공감에 대한 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하는 공감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자 한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을 형성한 유아교사들이 영유아들에게 가할 수 있는 무례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유아교사들이 경험한 긍정심리자본이 어떻게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감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에서 심층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국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2017년 10월부터 2017년 11월 초까지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총 206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204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여 코딩 후 SPSS 및 AMOS를 이용하여 실증적인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공감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이 결과변수인 무례함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즉, 유아교사들이 동료교사나 상급교사, 또는 후배 교사들로부터 공감을 경험했을 때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을 형성하여 본인이 속한 유아교육기관에 더욱 애착을 갖는 정서적 몰입을 보이게 되고, 그 결과, 유아에 대한 무례함도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공감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에서 심층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을 통해 유아교사들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유아와의 진정한 관계 형성에 기여하게 되며, 거시적인 관점에서 유아교육기관 내 관계지향적인 조직문화를 이룩하는데 공헌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와 여러 연구에서 제시된 지표들을 비교 검토하는 다기관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n order to reduce a violence of child care teachers, this study is based on research of compassion experienced by fellow teachers or superiors at work. That is to say design to prove of diminution in grave discourtesies to children and cordial attachment to institution for young children, arising from develop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a consequence of co-workers’ compassion for their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demonstrate an effect of compassion that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second is to circumstantiate how much discourtesy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an decline. Thirdly, one of the objects in the thesis is to validate what influenc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on emotional commitment. Lastly, the research attempted to confirm the influence on behavioral management from bottom their hea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rom October of 2017 to early November,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progressed with survey method in which national kindergarten teachers were asked to complete certain questionnaires. A total of 184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182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SPSS and AMOS.
This research finds that both the effectiveness of compassion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incivility and emotional commitment represent important meanings in themselves.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nducts from bottom of the heart are proved to work as regulation, and all the hypotheses predicted in this study are supported. Consequent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compassion experienc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suggests that they can not only immerse themselves more emotionally in the organization but also reduce the incivility of Infants.